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수
특이
고유
특유
스페셜
"
독특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매큐언, ‘Solar’ 오늘날 영어권 최고의 소설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이언 매큐언은 정말
독특
한 사람이다. 그의 소설 소재들은 과학이어서, 주인공들도 과학자가 많이 등장한다. 뉴욕 타임스 ‘올해의 책’에 선정된 1997년 작 ‘이런 사랑’의 경우는 과학자의 미련을 버리지 못한 과학저널리스트가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쪽만 열렸을 때는 위의 총알과 비슷한 패턴을 보이지만 두 틈이 다 열릴 경우 스크린에는
독특
한 파동의 패턴이 비친다. 각각 틈을 통과하며 회절하는 파동이 간섭하면서 진폭이 보강되거나 상쇄되기 때문이다. 이때 스크린에 닿은 파동의 세기, 즉 에너지는 진폭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제 기관총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우즈 교수는 메탄생성 박테리아에 대한 연구논문을 뒤지기 시작했고, 그 결과 이들이
독특
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즉 모든 박테리아의 세포벽에 존재한다고 알고 있던 펩티도글리칸이란 분자가 메탄생성 박테리아의 세포벽에는 없었고, 메탄을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조효소도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심각한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하지만 분명한 건 밀은 쌀이나 다른 곡물은 줄 수 없는
독특
한 식감과 풍미를 갖는 음식을 만드는 식재료라는 사실이다. 밀이 그토록 복잡한 식물이라는 게 왠지 더 어울린다는 생각도 든다. 눈 오는 날 베이커리 카페 창가에 앉아 오븐에서 갓 나온 따끈따끈한 빵 한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
동아사이언스
l
2012.07.01
●변화의 길 찾아 ‘뭉치고 협력하라’ 이번 행사는 파트너링 공간을 확대했다는 게
독특
하다. 세계 바이오 업계는 혁신을 위해 새로운 파트너를 찾고 힘을 모으는 중이다. 이번 행사의 가장 큰 특징은 전시장 한 가운데 널찍하게 잡은 ‘회의 공간(partnering room)’이다. 좁은 방을 수십 개씩 다닥다닥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생각을 바탕으로 그는 지나친 중복 규제가 오히려 기술 발전을 더디게 할 수 있다는 ‘
독특
한’ 의견을 제시했다. 벼나 배추 등의 게놈분석도 이제는 국제 컨소시엄을 이뤄 빠른 속도를 내려고 하는 추세인데, 중복을 규제하며 하나의 연구실에서 진행하면 속도전에서 뒤쳐질 수 있다는 것. 그는 ... ...
“단기 성과만 봐서는 바이오산업 성장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26
식물을 이용한 신약 시장 규모는 연간 3700억 달러(약 4200조 원)에 이른다. 우리나라는
독특
한 지형과 기후 때문에 다양한 생물자원을 갖고 있어, 누구보다도 식물을 이용한 신약개발에 유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목재펠릿과 같은 산림 바이오매스 에너지도 산림자원에서 얻을 수 있는 중요한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문을 연 셈이다. 정 교수가 이런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건 ‘공동연구의 극대화’라는
독특
한 연구방식 때문이라는 점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함께 일하고 함께 연구해 최고의 시너지 효과를 내 왔다는 것이 정 교수 연구팀원의 설명이다. 같은 우물을 파는 연구자들의 연합 정종경 KAIST 교수 KAIST는 ... ...
이전
25
26
27
28
29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