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be
고무관
필터튜브
필터
여파기
여광기
뉴스
"
튜브
"(으)로 총 381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 영어와 미국 영어의 차이는?
팝뉴스
l
2017.03.06
영국에서는 트레이너즈(trainers), 미국에서는 스니커즈(sneakers)로 불리고 지하철은
튜브
(tube)와 서브웨이(subway)로 각기 달리 표현된다. 팬츠(pants)라는 단어는 미국에서는 바지를 일컫지만 영국에서는 속옷을 의미하니 주의해야 할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날숨만으로 후두암과 위암 진단
과학동아
l
2017.03.03
날숨 샘플을 수집했다. 그리고 이 샘플을 소량으로도 성분을 검사할 수 있는 이온 플로우
튜브
질량분석기로 분석했다. 그 뒤 위암 또는 식도암 환자에서 검출된다고 알려졌던 부티르산, 부틸 알데하이드, 데칸알 등 5가지 화학물질을 지표로 사용했다. 이 화학물질의 수치가 높은 사람을 암 위험 ... ...
[개소리 칼럼] 강아지 발톱이 길어서 닿을 때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25
개 크기가 작아 사람 손톱깎이에 발톱이 들어간다면 그걸 이용해도 됩니다만, 개 발톱은
튜브
같은 모양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아주 어린 강아지가 아니면 어렵습니다. 그런 개주인들을 위해 개용 발톱깍이가 당연히 있습니다. 처음부터 쉽지는 않습니다. 예민한 개들은 주인이 손에 무엇인가 ... ...
10원짜리 세포분리칩… 200원짜리 원심분리기…
동아사이언스
l
2017.02.24
과학을 마누 프라카시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가 폴드스포크를 들어 보이고 있다. - TED 유
튜브
채널 캡쳐 프라카시 교수의 초저가 기술 개발은 페이퍼퓨지가 처음이 아니다. 2014년엔 말라리아 기생충을 관찰하거나 어린이 교육에 활용 가능한 종이 현미경 ‘폴드스코프’를 만들었다. 물체를 2000배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뒤 그 표면에 MoS2 층을 만든다. 그 뒤 PAN섬유를 녹여내면 안은 탄소나노
튜브
, 밖은 MoS2
튜브
로 이뤄진 나노구조물이 완성된다. 이렇게 만든 구조물을 음극으로 쓴 리튬이온배터리는 기존 MoS2 음극에 비해 리튬이온이 달라붙고(충전) 떨어지는(방전) 속도가 훨씬 빨랐고 충전과 방전을 1000회 반복해도 ... ...
KAIST 연구팀, 버벅대지 않고 전력 효율 높은 반도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04
수 있으리라는 기대다. 연구의 1저자인 이동일 KAIST연구원은 “차세대 탄소나노
튜브
반도체의 성능 개선과 더불어 실효성 또한 높아질 것”이라며 “이미 충분히 검증된 기존 반도체 제작 공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추가적인 공정 비용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 ...
‘만병통치약’을 퇴치하고픈 여성 과학자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0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11월에는 사람의 기관지 상피세포와 간세포에 탄소나노
튜브
처리를 한 뒤 DNA 형태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분석해 ‘바이오머티리얼스’에 게재했다. 장기적으로는 독성의 영향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해 위해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최 교수는 이날 ... ...
KIST 최우수, 천문연 우수… 5개 연구기관 종합평가 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ADD)’도 함께 평가 대상이 되었다. KIST는 뇌질환 진단치료기술 개발, 탄소나노
튜브
기반 열전소자 개발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매우우수 등급을 받았다. 천문연과 ADD는 우수 등급을 받았다. 천문연은 24시간 연속 천체관측 네트워크 건설 등을 인정받았으며 ADD는 민군 기술협력 등을 우수 성과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
2016.12.19
뒤 1991년 일본 NEC연구소의 이이지마 스미오 박사가 풀러렌이 길쭉해진 구조인 탄소나노
튜브
를 발견하면서 나노과학이 급부상했다. 스몰리 교수는 나노과학 전도사를 자처했고 심지어 자신들이 노벨상을 빨리 탈 수 있도록 로비를 했다고도 한다. 아무튼 풀러렌 논문을 발표하고 11년이 지난 1996년 ... ...
투명한데 휘어지기까지… 신기한 반도체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딱딱하고 불투명해 새로운 형태의 전자 장비를 만드는 데 제약이 있었다. 최근 탄소나노
튜브
나 그래핀 등 유기 고분자가 등장하면서 유연한 반도체를 만들 수 있게 됐으나 역시 불투명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투명해질 정도로 박막을 얇게 만들면 구조적 결함이 생겨 전류가 잘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