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췌장"(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혈액 속 약물 농도 파악하고, 적정량 투여까지 한번에동아사이언스 l2017.05.10
-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는 인슐린, 글루카곤 등의 물질까지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췌장의 기능을 재현할 수 있는 셈”이라며 “개인 맞춤형 의료의 발전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 ...
- 건강하려 먹는 ‘아미노산’…암 환자에게는 ‘독’동아사이언스 l2017.05.06
- 되는 식이다. 반면, 연구진은 ‘크라스(KRas)’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췌장암 등의 암에는 이 식이요법이 도움 되지 않는다는 점도 지적했다. 돌연변이 자체가 세린과 글리신을 생성하는 능력을 높여 암 세포가 스스로도 잘 먹고 살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이다. 보스덴 교수는 ... ...
- 암 정복 화학치료법의 4가지 유망 후보 물질동아사이언스 l2017.03.19
- 종양 형성에 관여하는 종양 유전자인 ▲‘라스(RAS)’를 타깃으로 하는 약물이다. 라스는 췌장암, 폐암 등 치명적인 암에서 높은 비율로 돌연변이가 일어난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의 요른 팝케 교수, 채닝 더 교수는 “과거에 라스를 타깃으로 하는 약물들은 실패를 겪었지만, 몇몇 실패 사례는 ... ...
- 당뇨치료제 ‘메트포민’ 암 환자 생존률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17.02.27
- 보였다. 김 박사는 “당뇨 치료제로 많은 환자들이 복용하는 저렴한 메트포민이 간암, 췌장암, 결장암, 직장암 등 소화기암 환자의 암 치료제로 널리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캔서 리서치 앤 트리트먼트’와 ‘온코타깃’ 1월호에 실렸다. 메타포민을 먹은 ... ...
- 물약 소화제 VS 알약 소화제, 당신의 선택은?동아사이언스 l2017.01.28
- 성분은 ‘판크레아틴’이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소화시키는 효소로, 주로 돼지의 췌장에서 만들어진 것을 사람이 먹는 알약에 넣는다. 따라서 돼지고기 알러지가 있는 사람은 소화효소제를 먹을 때 주의해야한다. 이밖에 ‘리파제’라는 지방분해 효소, ‘판프로신’이라는 단백질 분해 ... ...
- 사람아빠, 돼지엄마 가진 ‘키메라 세포’ 탄생동아사이언스 l2017.01.27
- 유전자를 삭제한 뒤 쥐 배아에 넣어 양육했다. 그 결과 키메라 세포에서 사라졌던 췌장 심장 눈 등의 기능까지 복원됨을 확인했다. 향후 사람의 수정란에서 유전 결함이 있는 부분을 없앤 뒤 돼지에서 정상적인 장기를 만들 수도 있다는 의미다. 벨몬테 교수는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에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2017.01.04
- 오랫동안 유지되는 고혈당증이 나타난다. 이는 밤에 분비되는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생체시계는 밤에 음식을 먹을 일이 없다고 상정하고 몸의 생리기능이 최적화되게 세팅하기 때문에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이다. 놀랍게도 식습관의 교란은 비만뿐 ... ...
- 전국민 암발생률 3년 연속 줄었다…갑상선암 무려 28%나 감소포커스뉴스 l2016.12.21
- 100.2%), 전립선암(93.3%), 유방암(92.0%)이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간암(32.8%), 폐암(25.1%), 췌장암(10.1%)은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갑상선암의 생존율이 100%가 넘는 것은 갑상선암에 걸린 환자가 5년 동안 아무도 죽지 않았다는 의미가 아니라, 동일한 나이와 성별의 일반인구와 비교했을 때 갑상선암 환자의 ... ...
- 불가능했던 췌장암 조기 진단 혈액검사만 받으면 OK2016.11.17
- 국내 연구진이 간편한 혈액검사만으로 췌장암을 높은 확률로 조기 발견할 수 있는 진단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췌장암은 세계적으로 하루 평균 985명의 ...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 추세대로라면 2020년엔 세계적으로 41만8000여 명이 췌장암으로 사망할 것으로 추정했다. ... ...
-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10.06
- 마치면서 질문 하나를 던졌다. “코가 냄새를 맡는 데 관여하는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췌장이나 면역세포 같은 조직과 세포에서도 발현되는지 알아보고 싶은데, 특정 후각수용체 유전자를 콕 집어내는 게 쉽지 않네요. 혹시 도와주실 분 있나요?” 이 질문이 김민수 교수의 뇌리에 꽂혔다. “내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