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측근
좌우익
뉴스
"
좌우
"(으)로 총 85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공감·AI]④ 눈에 안 띄는 교통 표지판 AI로 퇴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만나자 좌석도 덜컹거리며 움직였고 소리까지 생생했다. 연구원이 운전중 고개를
좌우
로 살피자 주변 건물과 나무가 실제 운전자가 보듯 펼쳐졌다. 마지막으로 ‘정지’ 표지판을 보고 운전을 멈췄다. 빨간 표지판은 초록 빛이 무성한 가로수 사이에 있었는데, 낮에는 잘 보였지만 밤엔 어두워 잘 ... ...
코로나19로 주목 받는 항체 '칵테일'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피하는 바이러스의 변이를 피할 수 있어 효과가 더 좋다고 '사이언스' 15일자에 발표했다.
좌우
그림은 표현만 다를 뿐 같은 단백질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사이언스 논문 캡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치료에 사용될 항체 치료제 연구가 잇따라 성과를 내고 있다. 완치 환자에게서 ... ...
코로나19 백신 국내 첫 임상 최준용 교수 “내년 상반기 3상 완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제대로 유도될지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중화항체 지속 기간도 백신 개발 성공을
좌우
하는 중요한 요소다. GX-19가 아무리 동물실험에서 유효성이 입증됐다고 해도 사람 몸에서 중화항체가 얼마나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돌연변이 발생 ... ...
코로나19 회복 환자서 얻은 수천 종 '항체 칵테일' 치료 효과 쏠쏠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피하는 바이러스의 변이를 피할 수 있어 효과가 더 좋다고 '사이언스' 15일자에 발표했다.
좌우
그림은 표현만 다를 뿐 같은 단백질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사이언스 논문 캡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유력한 치료제 후보인 ... ...
[표지로 읽는 과학]카나리아 암수 깃털색 차이를 만든 단 하나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교수 연구팀은 카나리아의 색깔 차이가 ‘베타 카로틴 산소효소-2(BCO2)’ 유전자 하나에
좌우
된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12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붉은 검정머리방울새와 카나리아를 교배해 카나리아의 색 변화를 살폈다. 붉은검정머리방울새 수컷은 몸통이 진한 붉은색을 띠고 암컷은 ... ...
1억1000만년 전 한반도에선 두발로 걷는 악어가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수평으로 세우고 뒷발로만 걸은 독특한 걸음걸이를 지녔던 것으로 밝혀졌다. 다리를
좌우
로 구부린 채 기듯 걷는 현생악어와 달리 다리가 몸통에서 바로 뻗은 상태로 걸었던 것으로 추정됐다. ●공룡과 공존..."초식공룡 잡아먹으며 육식공룡과 경쟁했을 것" 이 가운데 가장 특이한 특징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눈이 없어도 볼 수 있을까
2020.05.19
그림은 뇌의
좌우
반구를 뒤쪽에서 펼친 상태로, 후두엽 시각피질의 망막지도가 대상의
좌우
상하가 뒤바뀐 배치임을 알 수 있다. ‘계산신경과학의 경계’ 제공 그 뒤 미국의 괴짜 과학자 윌리엄 도벨이 바톤을 이어받아 한 세대에 걸쳐 시각피질 보철 연구에 매진했고 2000년대 초 그의 시스템을 ... ...
[잠깐과학] 사상 최대의 지진, 칠레를 휩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5.16
지진 진동으로 원통이 흔들리면 종이에 기록된다. 밀른의 지진계는 상하, 전후,
좌우
세 방향의 운동을 감지하여 하나의 종이 두루마리에 기록했고, 사람은 느낄 수 없는 먼 거리의 지진도 측정했다. 이전보다 민감하게 지진의 세기를 기록하는 밀른의 지진계는 세계로 퍼져 지진 연구에 혁명을 ... ...
[프리미엄 리포트]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5.09
퀀텀닷은 크기가 매우 작은 만큼 입자의 특성은 표면의 특성, 즉 리간드에 의해 크게
좌우
된다. 정 교수는 “퀀텀닷은 입자의 50% 이상이 표면”이라며 “현재 대부분의 퀀텀닷 연구가 리간드를 통해 표면을 안정화하기 위한 연구라고 봐도 무방하다”라고 말했다. 결국 리간드에 퀀텀닷의 성패가 ... ...
'세상에 없던 문제'로 인류 지식·삶의 질 지평 넓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같은 화학적 결합에
좌우
되지만, 그보다 큰 세계에서는 정전기력이나 마찰력에
좌우
되는 식이다. 이런 이유로 지금까지 규모를 넘나들며 결합을 제어하는 기술은 세계적으로도 연구가 거의 없다. 김 교수는 “입자 하나하나는 매우 기능이 제한적이지만 입자들을 모으면 훨씬 강력한 새로운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