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성
뉴스
"
인공위성
"(으)로 총 1,32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성냥개비 성분으로 ‘고효율 흑연 음극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05
담고 있다. 지난 5월 발사된 누리호에 탑재된 차세대 소형위성 2호를 개발한 한재홍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장(항공우주공학과 교수)이 이번 애니에 등장인물로 출연한다. 총 7편으로 만들어지는 애니 시리즈는 SK브로드밴드 전용 채널에 다음 달부터 순차적으로 공개되며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 ...
온실가스 ‘메탄’ 감시 위성 개발...국내 첫 ‘드림팀’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모니터링 위성 모식도.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제공. 국내
인공위성
스타트업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온실가스 중 하나인 대기 중 메탄 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초소형 위성 개발에 나선다. 서울대 기후연구실, 한국천문연구원과 협력해 국내 첫 메탄 모니터링 초소형 위성 개발 ... ...
[주말N수학] 우주공간에 데이터센터를…우주컴퓨팅 가능성 타진한다
2023.09.16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만든 우주 태양광 발전 상상도. NASA 제공 해를 거듭하면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 기후변화 감시기구가 올해 7월 중순까지의 온도가 역대 최고라는 관측 결과를 발표하자 UN본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은 “지구 온난화 ... ...
달 남극에 착륙한 '찬드라얀3호', 다누리가 포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2
G20 한국-인도 정상회담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우주 탐사 및
인공위성
정보 활용 등을 중심으로 우주 연구 분야에서의 양국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우주방사선 환경 구현해 위성에 쓰일 반도체 성능 시험
동아사이언스
l
2023.09.12
이번에 구축된 우주환경모사장치는 시운전을 거쳐 산업계 등 이용자에게 개방된다. 우선
인공위성
에 사용될 부품 및 소재 개발 등을 위한 우주환경 시험 시설로서 우주 산업 부품 국산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재상 양성자과학연구단 단장은 “경주 양성자가속기가 국내 우주 산업을 활성화하는 ... ...
태국, 지구관측
인공위성
2호 내달 발사…프랑스와 공동 개발
연합뉴스
l
2023.09.08
제공 태국이 다음 달 지구 관측을 임무로 하는 2호
인공위성
을 우주로 발사한다. 8일 현지 매체 네이션 등에 따르면 태국의 '테오스-2'(Theos-2) 위성이 개발과 테스트를 마치고 프랑스 툴루즈에 있는 에어버스사에서 남미의 프랑스령 기아나 발사장으로 이송됐다. 태국은 프랑스와 협력해 ... ...
우리 기술로 만든 우주 영상 레이더 첫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해양 환경오염 등을 탐지에 활용할 영상레이다 관측 자료를 제공한다. 한재홍 KAIST
인공위성
연구소 소장은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위성 본체와 탑재체 대부분이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됐다"며, "공개된 영상은 KAIST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국산화한 우주용 영상레이다를 이용해 촬영한 지구관측 ... ...
달 탐사 강국 인도, 일본에 손 내밀어...국제협력 설자리 좁은 한국
2023.09.04
인도와 일본의 달 탐사 프로젝트 ‘루펙스(LUPEX)’에서 사용될 탐사 로버의 상상도.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제공 지난달 23일 인류 최초로 달 남극 착륙에 성공한 인도와 우주개발 강국 중 하나인 일본의 협력이 본격화된다. 인도의 달 남극 착륙 성공을 계기로 2025년 탐사선을 보내 달에 ... ...
인도, 태양관측용 위성도 발사…달 남극 탐사도 현재진행형
동아사이언스
l
2023.09.03
또 다시 새로운 역사를 만들었다. 아시아 국가 중 처음으로 태양 관측 임무를 지닌
인공위성
을 발사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아디티아 L1은 발사체 ‘PSLV C57’에 실려 태양과 지구 사이에 위치한 라그랑주 1지점까지 이동하게 된다. 지구에서 150만 km 떨어진 해당 지점에 도착하기까지는 125일의 ... ...
여름철 북극해빙 두께 추정법 개발…"북극발 기후변화 예측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8.30
양의 피드백 현상이 나타난다. 원격탐사자료 분석 결과 이같은 해빙 표면의 현상은
인공위성
에서 밝기 차이로 식별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존에 없던 ‘여름철 북극해빙 두께 추정법’을 최초로 개발했다. 빠르게 변하는 여름철 해빙 변화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