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수입금
수입
추수
거두어 들이기
가을걷이
이득
뉴스
"
수확
"(으)로 총 321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먹는 쌀 품질, 스마트폰으로 한 눈에 본다
2015.06.30
계획이다. 식품연 측은 “농지별 생산 및 재배이력 정보를 볼 수 있으며 벼의 최적
수확
일정을 결정하고, 품질 이력도 추적할 수 있어 쌀의 생육과 유통상황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 ...
韓 연구진 “힉스 이후 최대 성과”
수확
에 기여
2015.05.14
양성자 2개를 충돌시켜 얻은 B중간자가 2개의 뮤온 입자(μ+, μ-)로 붕괴했다. 붉은색 선이 뮤온이 이동한 궤적이다. - 네이처 제공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지금까지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새로운 입자의 붕괴 현상이 처음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태양빛을 받고 전자를 만드는 생물 발전소인 셈이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광합성 전기
수확
기술’은 이렇게 분해된 전자를 빼내서 전기 에너지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단국대 배성재 교수팀은 식물의 잎에서 직접 전자를 빼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아주 ... ...
시내 한복판에서 벌 키우는 ‘도심양봉’, 괜찮을까
2015.05.05
대전시가 서구 구봉산 인근에 마련한 시민 체험양봉장. 시 관계자가 벌통을 열어 보이고 있다. - 대전시 제공 ‘위험하게 왜 도시 한 복판에서 벌을 키우는가?’ ‘꿀벌 ... 대전시는 청사 등 도시양봉장과 시민분양 체험양봉장에서 아카시아 천연벌꿀 1216kg을
수확
했다고 밝혔다. - 대전시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향상이 중요해졌고 그 결과 농지의 규모가 커졌고 작물이 획일화됐다. 그러나 엄청난
수확
도 그렇게 오래가지 못했다. 해충이 창궐했기 때문이다. 손으로 일일이 벌레를 잡을 규모가 아니었기 때문에 농민들은 해충을 퇴치할 농약을 갈구했다. 천연농약인 제충국제(pyrethrum)가 있었지만 양도 적고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발표했다. 시리아에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다. 작물
수확
량이 급감하면서 식량난을 겪었다. 생계가 어려워진 농민 150만명이 도심으로 몰려들어 빈민층을 이뤘다. 이런 가뭄 피해자들이 2011년 초 무능한 정권을 향해 체제 개혁을 강하게 요구했고 반정부 시위세력을 ... ...
[우먼 동아일보] 허니버터칩~ 먹어보자!
동아일보
l
2015.01.30
넣어 재빨리 버무리고 다진 견과류와 파슬리가루를 뿌린다. Cooking Tip 햇감자를
수확
하고 저장하면 녹말 성분이 많아지는데 이를 충분히 제거하고 튀겨야 타지 않고 바삭바삭한 칩을 만들 수 있다. 허니버터소스에 감자칩을 버무리고 오랫동안 두면 눅눅해지므로 먹기 전에 바로 버무리는 것이 ... ...
안방에서 스마트폰으로 농장일 척척
2014.12.17
온습도와 공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을 도입한 뒤 파프리카를 20%나 더 많이
수확
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하루에 3시간씩 걸리던 관리시간을 10분으로 줄일 수 있었으며 한달 관리비용도 27만 원에서 1만5000원으로 줄었다. 전남 무안의 국화 농장에서도 ICT 기술을 적용해 온실의 온도 변화를 ... ...
들쭉날쭉 CO2 농도, 범인은 농사
과학동아
l
2014.12.08
마크 프라이들 교수는 “경작지의 면적은 일정해도 기술이 발달하면서 면적당
수확
량은 늘어난다”며 “농업 기술의 발달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계절 편향성을 더 심해지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 ...
쌈배추에 개똥쑥 추출물 계속 뿌렸더니…
2014.09.17
42% 억제됐다. - 농촌진흥청 제공 결실의 계절 가을을 맞아 농부들은 크고 튼실한
수확
물에 대한 기대를 품는다. 하지만 상추나 쌈배추와 같은 쌈채소류는 크기가 너무 크면 오히려 상품성이 떨어진다. 적당한 크기로 생장을 조절하기 위해 지금까지 화학농약을 써왔지만 농약이 잔류하는 문제가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