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덤
묘소
뫼
묘
산소마스크
마스크
묘지
뉴스
"
산소
"(으)로 총 2,0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과학영재의 자체 발광 식물 연구 일기
과학동아
l
2024.04.20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발광식물이 탄생했습니다. 루시페린은 루시페레이스에 의해
산소
와 결합하며(산화) 빛을 낸다. 반딧불이나 발광성 플랑크톤 등이 루시페린으로 빛을 내는 대표적 생물로 꼽힌다. 동아사이언스 DB 이후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종의 발광식물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제가 현재 ... ...
온실가스 메탄, 고부가 화학원료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과정에서 나오는 메틸 라디칼(CH3)로 인해 코크스(탄소 찌꺼기)가 많이 발생한다. 여기에
산소
를 반응시켜 찌꺼기를 없애는 산화 직접 전환 기술도 개발됐으나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효율 역시 낮다. 가장 크게 관심받는 기술은 중국에서 개발한 비산화 메탄 직접 전환 ... ...
인체 정전기 이용해 오염수를 식수로 정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수처리 기술을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전기 및 광촉매를 통해 활성
산소
를 생성해 정수하는 방법이 도입됐지만 이 역시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보행 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수확해 전기장을 만들고 이를 전도성 고분자 ... ...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04.13
높은 단순 당을 최대한 피하는 식습관으로 노화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활성
산소
를 중화시키는 과일, 채소, 견과류 등의 식품을 섭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유미 교수는 "설탕과 단백질 간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최종 당화산물은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데 ... ...
[과기원NOW] 조창희 DGIST 교수팀, 2차원 반도체 결함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이용해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로 구성된 2차원 반도체에서 발생한 결함을
산소
분자의 화학적 흡착으로 정상화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향후 우수한 성질을 가진 차세대 반도체 소재 활용으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17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됐다 ... ...
[잠깐과학] 1872년 4월 10일, 미국에서 첫 식목일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06
제공 나무는 우리가 숨쉬는 데 꼭 필요한
산소
를 만듭니다.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 역할도 해요. 미국 네브래스카주에 살고 있던 전 미국 농무부 장관 줄리어스 스털링 모튼은 나무의 필요성을 누구보다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당시 1800년대 미국은 땅을 개척하기 위해 무분별하게 나무를 베면서 ... ...
차세대 수전해 효율 높인 고체산화물전지 스택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분리판 제조 기술을 개선해 제조 단가와 제조 시간을 줄였다. 분리판 양면으로 수소와
산소
가 섞이지 않는 길(유로)이 필요한데 기존에는 기계적, 화학적으로 깎아 길을 냈다. 연구팀은 울퉁불퉁한 돌기를 배열해 유로를 도장처럼 찍어내는 프레스 성형 공법을 적용해 하루 최대 100개였던 기존 ... ...
미국서 장기 이식 건수 드라마틱하게 늘어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혼수상태 환자에게서도 기증용 장기를 얻을 수 있게 됐다. 이전에는 임종 과정에서
산소
가 손실돼 이식용 장기를 얻게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향상된 장기 보존 기술의 걸림돌은 비용이다. 미국에서 신체 외부에서 장기를 관류할 수 있는 장비를 구하는 데는 6만5000달러(8775만원)의 ...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MRI로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다양한 실험을 통해 망간 이온 결합 빌리루빈 나노입자가 간 질환 모델 마우스에서 활성
산소
양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MRI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전상용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새로운 MRI 조영제와 영상해석 모델을 사용해 기존에 표준 진단으로 ... ...
화재 걱정 없는 전고체 배터리 '열 안정성' 더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위험을 줄였다. 폭발하는 주요 원인인
산소
방출도 크게 억제했다. 양극에서 발생한
산소
가 가스로 변하지 않고 LIC와 흡열반응을 통해 없어지는 현상 또한 발견됐다. Li3YCl6, Li2ZrCl6 등의 다른 종류의 할라이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거나 LCO와 같은 다른 양극재를 사용할 때도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