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지혜
현명함
예지
견식
신중
분해
뉴스
"
분별
"(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뇌가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똑같이 구현한 것이다. 지금은 간단한 숫자를
분별
하는 수준이지만 멤리스터 제작 기술이 발전하면 얼굴 표정을 보고 감정을 파악하는 것처럼 고도의 분석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화상인식 시스템은 실제 이미지(위 ... ...
땅콩 알레르기 막는 ‘착한’ 장내 미생물은?
2014.08.26
어린이 수가 1997년부터 2007년까지 18%나 증가했다”며 “식품 알레르기는 아마도 최근 무
분별
한 항생제 사용과 관계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항생제가 장내 미생물에 변화를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쥐를 대상으로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팀은 정상 쥐와 땅콩 알레르기를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후성유전학적 유전’는 동식물에 걸쳐 존재하는 현상이라는 말이다. 20세기 중반 무
분별
하게 사용된 DDT 같은 화학물질은 5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후손들의 DNA에 흔적을 남겨 현대인들의 각종 대사질환과 불임의 만연에 한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 CDC 제공 스키너 교수는 ‘사이언티픽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나 이온채널에 문제가 있을 경우 칼슘이나 나트륨 이온이 무
분별
하게 쏟아져 들어와 통제가 안 되는 신경발화가 일어나는 것. 한마디로 뇌전증은 신경질환이지 정신질환은 아니라는 말이다. ‘둘 사이의 차이가 뭐지?’ 이런 독자를 위해 간단한 문제를 내겠다. ... ...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식물의 노하우는?
과학동아
l
2014.06.18
유전자 과발현 식물(가운데), 돌연변이 식물(오른쪽) - 한국연구재단 제공 인류의 무
분별
한 개발에 따른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가 수많은 생물체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로 식량작물 생산량이 감소할 경우 인류 역시 큰 위기상황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하는 전문가가 많다. ... ...
‘돌이킬 수 없는 남극 해빙’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14.05.30
시계 방향으로 대륙을 감싸면서 분다. 그런데 최근 수십 년간 프레온가스 등이 무
분별
하게 사용되면서 남극 상공의 오존 농도가 감소했고 이에 따라 남극에 형성되는 저기압의 세력이 강해졌다. 이 때문에 중위도 지역과의 기압 차가 커져 남극을 순환하는 바람의 세기도 1979년에 비해 15~20% ... ...
[채널A] ‘블랙박스 탐색전’ 누가 이길까? 나라의 자존심 건 수색
채널A
l
2014.04.10
신호 특성이 수시로 바뀌는데, 이런 왜곡된 신호를 잡아서 우리가 찾고 있던 신호인지
분별
해낼 수 있는 신호처리 기술이 매우 중요합니다. 각국의 첨단 장비들이 이런 난관을 4일 내에 극복하지 못하면 실종된 여객기는 영원히 찾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 ...
매머드의 멸종 원인 알고보니...'헉'
과학동아
l
2014.03.26
약 480만 년 전 등장한 매머드는 1만 년 전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인류의 무
분별
한 사냥과 운석 충돌로 인한 기후변화 등이 멸종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연구팀은 매머드 목뼈의 둥글고 평평한 부위에서 제7경추의 횡돌기가 길어져 신경혈관을 압박할 때 주로 나타나는 ... ...
깨알 같은 익살로 가득 채운 통계 교양서
수학동아
l
2014.03.05
통계 용어나 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품고 있다. 그래서 통계를 해석한 뉴스들을 무
분별
하게 받아들이며 수에 속고 통계에 속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이 책은 통계의 기본을 알려 주는 익살스러운 만화 교양서다.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통계나 수학에 대해 얼마나 두려움을 갖고 ... ...
IT 접목한 ‘똑똑한 제조업’ 美日獨 날고, 한국은 기고…
동아일보
l
2014.01.16
40% 높았다. 지금도 20% 정도 높다. 하지만 해외생산 제품의 운송비용, 현지에서 무
분별
하게 이뤄지는 지적재산권 침해, 지지부진한 공정혁신 등 전체 비용을 따져보니 해외공장 운영이 결코 이득이 아니라는 점을 깨닫기 시작했다. 2012년 2월 중국의 일부 생산라인을 켄터키 주로 옮긴 GE의 제프리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