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뉴스
"
번식
"(으)로 총 682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니멀리포트]호랑이를 길들이지 못하는 세 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20.06.27
시력이 점점 나빠진다. 미국동물원수족관협회(AZA)는 2011년부터 공식적으로 백호의
번식
을 금지했다. 한편 고양잇과에 속하는 종들은 서로 염기서열이 비슷하고 염색체 수가 38개로 같아 이종간에도 교배가 가능하다. 호랑이와 사자를 이종교배해 탄생한 라이거, 타이언 등이 대표적인 예다. 하지만 ... ...
토종 양서류 '수원청개구리' 북한에도 산다…충남·전북에선 신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청개구리는 숲에서 월동을 하고 습지에서
번식
을 하지만, 수원청개구리는 이주 없이
번식
과 월동을 같은 곳에서 한다. 울음소리도 다르다. 이번 조사에서 수원청개구리는 경기 파주와 안산, 평택, 충북 음성 등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논과 습지에 두루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한 ... ...
우주 최강 생명체 '물곰', 남극 세종기지 근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완보동물을 찾아내 ‘닥틸로비오투스 오비뮤탄스’라 이름 붙이고 실험실에서 키워
번식
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완보동물은 물곰 또는 이끼 새끼돼지로 불린다. 극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원자폭탄이 떨어진 곳에서 살아남거나, 영하 273도의 극한 환경에서도 ... ...
32℃ 수온 견디는 참전복 대량보급 기술개발…폐사 걱정 '뚝'
연합뉴스
l
2020.05.29
이 품종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 게 다음 과제였다. 참전복 품종을 일일이
번식
하게 하는 방식으로는 생산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남 연구사는 일반 전복 품종과 차이를 보이는 참전복 품종의 유전자적 특성(유전자 마커)를 찾아냈다. 이 유전자 마커를 활용하면 간편한 ... ...
괭이갈매기 사계절 이동 첫확인…북한·중국까지 서해 전역 생활
연합뉴스
l
2020.05.24
내 어미 새 10마리에 위치추적 발신기를 부착하고 경로를 추적했다. 추적 결과
번식
을 마치고 백령도를 떠난 괭이갈매기가 북한 해안에서부터 우리나라 서해안과 제주도는 물론 중국의 랴오닝성에서 푸젠성에 이르는 중국 해안까지 서해 전역을 이동하며 생활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가장 ... ...
전선 끊어져도 셀프 복원…자가 치유기술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5.18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연구팀은 2011년 수분을 만나면
번식
하는 세균 캡슐을 콘크리트 속에 섞어 넣은 자가치유 기술을 개발하고 ‘바실리스크’란 회사를 세웠다. 바실리스크는 유럽 신화 속 상상의 동물로 쳐다보는 것만으로 사람을 돌로 만든다. 세균 콘크리트도 ... ...
암컷 돼지 분비물로 유혹해 ASF 감염 야생멧돼지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내 북한 접경지역에 울타리를 쳐 멧돼지가 남하하는 걸 막고 있다. 특히 최근 멧돼지의
번식
철인 봄철이 되며 멧돼지 개체 수 조절이 필요하나 엽사와 사냥개의 사냥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산악 지역을 타고 넘나드는 멧돼지 특성상 동선에 포획 장비를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 ...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방명걸·윤대진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수와 구조적 이상에 의한 불임의 원인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았다. 방 교수는 수컷 동물의
번식
능력을 선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의학학술지 랜싯에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 윤 교수는 식물이 외부 환경에 노출됐을 때 어떻게 신호를 활성화하고 둔감화 하는지를 통해 생체방어 작용이 어떻게 ... ...
"국산 당뇨 합병증용 신약후보물질 코로나19 억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4.14
녹스의 활성을 조절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증식을 막을 수 있다. 먼저 바이러스가
번식
하려면 인체 세포 안으로 침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엔도솜이라는 세포내기관이 필요하다. 바이러스는 엔도솜을 마치 주머니처럼 활용해 그 안에 담긴 채 세포 안에 침투한다. 침투 뒤에는 엔도솜 안의 ... ...
춘천서 46년만에 발견한 장수하늘소, 광릉에 사는 수컷과 짝짓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3
암컷은 죽었다. 연구소는 광릉숲에 사는 암컷 두 마리를 데려와 춘천에서 발견한 수컷과
번식
을 시도할 예정이다. 이성경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인공 사육과 증식을 통해 서식지를 추가로 복원하고, 장수하늘소를 활용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