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10.21
자신이 몸담고 있던 연구실의 가장 중요한 실험 장비인 20 테슬라(자기력선속의
밀도
를 나타내는 국제단위. 기호는 T다) 성능의 강력한 전자석 내부에 물을 부은 것이다. “장비에 물을 붓는 것은 확실히 표준적인 과학 연구 방법은 아닙니다. 그리고 내가 왜 그런 ‘전문가답지 않은’ 짓을 ... ...
서울 면적보다 10배 큰 '빙산' 떨어져나온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9
분석이다. 그 결과 해양 심층으로 가라앉아야 할 따뜻하고 무거운 물이 기울어진 등
밀도
선에 따라 위로 이동하고, 차갑고 가벼운 물은 아래로 이동하며 빙붕을 녹게 만든다는 것이다. 극지연구소는 2018년 3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라센C 빙붕 붕괴지역으로 보내 빙붕 붕괴에 관한 연구를 ... ...
리튬금속전지 안전성 높였다...무음극 집전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7
개발에 나섰다. 무음극 전지 시스템은 음극재를 없애 부피와 무게를 줄이고 에너지
밀도
를 높이는 개념으로, 이 시스템에서는 집전체가 전자 이동 통로와 음극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3차원 다공성 구조를 갖는 구리 집전체를 개발해, 이를 기반으로 무음극 전지 시스템을 구현했다. 리튬 ... ...
서막 오른 우주인터넷 시대...'유령' 인공위성 우려도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다른 인공위성이나 GSO의 신호를 혼·간섭하지 않도록 전파세기의 한계 기준인 등가전력속
밀도
(EPFD)를 규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ITU가 현재 활동중인 저궤도 인공위성만으로도 EPFD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국가 명의만 달리한 대규모 인공위성이 지속적으로 저궤도에 난립하게 될 ... ...
금속 소행성 '프시케' 탐사선 발사...지구핵 비밀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0.15
것으로 추정했다. 이후 과학자들은 프시케의 궤도가 암석으로 된 소행성보다 훨씬
밀도
가 높다는 것을 암시하는 굴절이 일어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는 프시케가 거의 ‘순수한 금속’과 가깝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프시케는 행성의 내부인 ‘핵’에 해당하는 부분일 ... ...
소행성 탐사는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23.10.08
지각으로 구분된다. 이런 지질학적인 구조는 지구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온도와 압력,
밀도
가 커 만들어졌다. 강한 중력과 압력은 형태적인 변형도 유발했다. 지구는 더이상 태양이 막 만들어졌을 당시의 모습이 아니다. 반면 소행성은 원시 태양계 당시 만들어졌던 울퉁불퉁한 모습을 그대로 ... ...
고양이가 내는 소리 '가르릉' 뇌 활동과는 무관
동아사이언스
l
2023.10.04
관찰했다. 성대에서 특이한 섬유조직 덩어리들이 발견됐는데, 이 덩어리가 성대의
밀도
를 높여 성대가 천천히 낮은 주파수의 진동을 내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와 같은 움직임은 뇌에서 전달되는 신호나, 고양이가 의식적으로 근육을 수축 및 이완하는 것과는 ... ...
美 레이저 핵융합 장치, 투입 에너지 '1.89배' 얻는 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캡슐을 사용했다. 레이저 빔과 충돌하는 실린더가 더 많은 양의 에너지에 버틸 수 있도록
밀도
를 높이고 정확한 대칭을 맞추도록 보완했다. 연구팀은 "몇 년 이내에 투입한 에너지의 2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NIF의 이번 성과는 핵융합 에너지 생산 ... ...
[과기원NOW] AI로 조현병 원인 치료 실마리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9.29
신경세포의 발생을 변화시켜 조현병 취약성을 결정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뇌의 신경세포
밀도
를 감소시키는 유전형 조합을 조현병 예측 마커로 제시해 조현병 예측과 원인 치료의 가능성도 열었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기능유전체학 브리핑’ 9월호에 실렸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7일 ... ...
천체물리학 난제 '블랙홀 회전' 증명…'제트' 방출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8
것으로 추측되는 기체·액체의 빠른 흐름을 말한다. 물질이 노즐 같은 구조를 통과해
밀도
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방출되며 생성된다. M87과 같은 초대질량블랙홀의 제트 방출 매커니즘은 현대 천체물리학의 주요 난제 중 하나다. 현재 주류이론은 블랙홀이 빠르게 회전할 때 에너지가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