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흉내
모사
되풀이
의태
흉내내기
답습
모의
뉴스
"
모방
"(으)로 총 742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6) '백곰 미사일의 혼' 누리호에도 들어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8
단암시스템즈는 누리호에 들어간 전자탑재시스템 외에도 산업용 무인이동체, 생체
모방
로봇 등 사업을 점차 다각화하고 있다. 단암시스템즈는 제조 설비는 물론 성능시험 설비까지 모두 갖추고 있어 R&D와 제조, 검증까지 원활하게 이뤄지는 보기드문 체계를 보유하고 있다. 김 부장은 “높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 감염이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킬까
2021.09.07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헤르페스바이러스의 경우 분자
모방
뿐 아니라 방관자 활성화 등의 메커니즘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 코로나19 후유증 보고 잇따라 과도한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신호분자인 종양괴사인자(TNF-알파)를 없애는 항체약물인 ... ...
따개비
모방
해 15초 만에 굳는 생체 지혈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11
새로운 생체 지혈제를 개발했다. MIT 제공 바닷가의 암초에 붙어사는 따개비의 접착력을
모방
해 15초 안에 빠르고 간편하게 지혈할 수 있는 생체 지혈제가 개발됐다. 육현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새로운 개념의 생체 지혈제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 ...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인간 뇌
모방
한 뉴로모픽 반도체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뉴로모픽 트랜지스터로 구현했다. 연구팀은 제작된 뉴로모픽 반도체로 뇌의 기능을 일부
모방
해 글자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 인식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뉴로모픽 반도체는 집적도 개선과 비용 절감 등으로 뉴로모픽 반도체 하드웨어 상용화를 앞당길 수 ... ...
곤충
모방
비행로봇 발명한 박훈철 건국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박훈철 건국대 스마트운행체공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으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풍뎅이를
모방
해 장애물과 충돌해도 ... 자원이 있다면, 메뚜기, 날치, 가마우지 같이 두 가지 이상 방식으로 기동하는 생물체를
모방
하는 이중 모드 로봇을 연구하고 싶다”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인공 나뭇잎’ 효율 3배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부 장지현 교수팀이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모방
한 ‘인공 나뭇잎’으로 1~3% 수준이던 기존 수소 생산효율을 5%까지 끌어올리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장 교수팀은 그간 널리 연구되지 않던 게르마늄을 인공 나뭇잎에 도핑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 ...
[올림픽의 과학]인간은 왜 치타보다 빠를 수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설명했다. 지난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진은 치타의 달리기 모양을
모방
해 스프링으로 치타와 유사한 척추 운동을 하며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에 발표했다. 2016년 미국 연구진은 이론상 인간이 가장 빨리 달릴 수 있는 속도는 시속 60km라는 ... ...
포도당을 연료로 생체 내에서 움직이는 ‘나노모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교수, 니티 쿠마리 연구교수, 권태완 통합과정 연구원 연구팀이 이같은 생체 자율 운동을
모방
해 인공적인 움직임을 구현하는 나노모터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나노 규모의 장치는 세포 내에서 약물 전달, 정밀한 세포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반복적으로 투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연구자들은 FGFR1/KLB에 달라붙어 FGF21 기능을
모방
하는 항체를 선별해 비만인 사람들에게 1회 주사했다. 항체는 한 달 동안 체내에 머무르며 표적에 결합해 신호를 보냈고 그 결과 3주 뒤 몸무게가 2% 정도 줄었다. 설문 조사 결과 항체를 투여받은 사람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력 거스르는 식물의 모세관 현상을
모방
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개발한 미세관 모듈(왼쪽). 정육면체가 모듈 하나에 해당한다. 식물의 모세관 작용을
모방
했다. 네이처 제공 연구진은 이렇게 미세관으로 이은 정육면체 모듈을 수십~수백 개 쌓아 올렸다. 미세관의 지름을 300μm부터 600μm까지 굵기를 달리한 뒤 관의 굵기에 따라 미세관을 타고 올라가는 유체의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