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뉴스
"
두개골
"(으)로 총 303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다른 유인원의 화석인지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실제로 고인류학자들에 따라
두개골
형질이 고릴라에 더 가깝다고 주장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두 번째 후보는 동아프리카 케냐에서 발견된 ‘오로린 투게넨시스’입니다. 이 종 역시 600만~70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화석종은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젊은 여성과 아이들이 많았는데, 흥미로운 특징이 있었습니다. 부서진 조각들이 많았고,
두개골
이나 얼굴 부위가 적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뼈 곳곳에 칼자국이 나 있었습니다. 이게 무슨 뜻일까요. 인류학자들은 이것을 식인 풍습의 흔적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마침 당시 사람들은 네안데르탈인이 ... ...
뼈 붙인 뒤 재생까지 돕는 ‘홍합 단백질 접착제’
2014.12.18
이용해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를 만들고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쥐의
두개골
에 구멍을 낸 뒤 뼈 형성을 돕는 이식재를 넣고 접착제로 고정한 결과 이식재만 넣은 쥐에서보다 뼈 재생이 1.5배 활성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홍합접착제가 뼈 이식재를 고정해 줄 뿐 아니라 뼈 재생까지 도운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카데바(해부용 시체)를 대상으로 시연까지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 수술 로봇을 이용하면
두개골
을 절개하지 않고 뇌종양 수술을 할 수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미세 수술로봇.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 암세포만 태워 없애는 광열치료법 개발 이지원 ... ...
‘포악한 거대 육식공룡’ 수각류에 대한 3가지 오해
동아사이언스
l
2014.11.27
수각류다. 이번에
두개골
이 발견된 수각류도 소형 공룡일 것으로 추정된다.
두개골
화석의 길이가 5.7cm, 폭 2.6cm 정도인 만큼 전문가들은 이 공룡의 몸길이가 50cm도 안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은 “새끼라고 하더라도 성체가 됐을 때 몸길이는 1m 이하일 ... ...
온전한 골격 육식공룡 화석 국내 첫 발견
동아일보
l
2014.11.25
중생대 백악기 전기인 1억1000만∼1억2000만 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석에서
두개골
크기는 길이 5.7cm, 폭 2.6cm이며, 발견된 골격의 전체 몸길이는 약 28cm. 이 공룡이 생존했을 때의 전체 몸길이는 50cm로 소형 공룡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향후 1년간 화석 보존처리 작업을 거쳐 뼈와 암석을 ... ...
日 인공지능 로봇 모의시험 결과가…도쿄대 합격할까?
동아일보
l
2014.11.03
- [화보] 개그우먼들, 점점 과감해지는 시상식 패션 [관련 뉴스] - 굵기 4㎜ 로봇팔로
두개골
절개 않고 뇌종양 제거 성공 - 3D 프린터로 ‘스타워즈’ 로봇 손 현실화…“믿기지 않는다” - 영화 ‘아이언맨’처럼… 국산 ‘군사용 입는 로봇’ 직접 착용해보니 - 삼성重, 수중 선체청소로봇 개발… ... ...
토종 로봇 이용한 뇌수술 현장… 4mm 로봇팔로 종양 제거 척척
2014.11.02
연구진이 개발한 ‘미세수술용 능동 캐뉼라 로봇’의 커대버 수술 시연이 진행됐다.
두개골
을 뚫지 않고 뇌 속까지 수술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로봇 개발에 적극 참여했던 김선호 연세대 의대 신경외과 교수가 이날 수술을 집도했다. 로봇팔 끝에 달린 집게(겸자) - 이우상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쪼이면 기억을 조작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KAIST 제공 연구진은 이후 쥐의
두개골
에 구멍을 뚫어 이 신경세포로 빛을 전달할 수 있는 광섬유를 심었다. 그리고 광섬유로 빛을 쪼여 신경세포를 자극하면서 암컷과 교미하도록 했다. 놀랍게도 수컷 쥐는 교미가 끝난 뒤 전기 충격을 당한 ... ...
“태블릿PC에서 내 뇌가 보여요”
2014.08.08
‘너스(NIRS)’로 불린다. 헬멧을 쓰면 인체에 해가 없는 근적외선을 뇌에 보낸 뒤
두개골
을 통과해 돌아오는 빛을 감지해 혈류를 측정한다. 지금까지는 이 방식으로 혈류를 측정하기 위해 적외선 감지기만 수십 개가 필요했고, 데이터를 처리할 고성능 컴퓨터도 구비해야 했다. 그런데 배 교수팀이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