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1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의 항체 회피 능력, 미국·프랑스·남아공 등 연구에서 속속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1.12.24
코로나19 중화 항체 대부분을 피한다고 결론지었다. 오미크론 변이는 50개 이상 유전자
돌연변이
가 확인된 변이다. 이중 32개가 감염과 백신 면역에 연관된 스파이크 단백질에 몰려 있어 기존 변이보다 전파력과 백신 회피 능력이 뛰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1 ... ...
美 FDA, 머크 코로나 알약 치료제 결국 승인...안전성 우려 여전
동아사이언스
l
2021.12.24
세포분열이 활발한 조직이 있다"며 "특히 남성의 경우 정자를 만드는 세포에 영향을 미쳐
돌연변이
가 생길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MSD는 노스캐롤라이나 의대 연구팀이 몰누피라비르의 복용방법과는 달리 너무 장기간 노출시킨 탓이라고 반발했다. 몰누피라비르는 코로나19 확진 초기 ... ...
식물체 기반 돼지열병 백신 세계 최초 출시…안전성 높아
연합뉴스
l
2021.12.20
기반 백신으로 돼지열병 바이러스를 퍼뜨릴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돌연변이
바이러스를 만들 가능성이 없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바이오앱은 2019년 농림축산검염본부로부터 그린백신 품목허가를 받은 뒤 포항시와 농림축산식품부 지원을 받아 포항과 제주 농가 현장적용 시험을 진행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RNA 치료제의 부상과 우연한 인본주의
2021.12.16
희귀성 유전질환은 시장이 아주 작고, 암은 크기 때문이다. 이미 잘 알려진 유전자
돌연변이
로 발생하는 암 치료에 RNA 기반 치료제 파이프라인이 몰리고 있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다. 아마 거대제약사들은 빠르게 단일 유전자의 변이로 발생하는 모든 암의 치료제를 개발하려 들 것이다. 원인이 ... ...
코로나19 대유행 끝내려면 HIV 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 몸 속에서 바이러스가 오랫동안 머물면서 여러 차례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일어나면서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를 처음 발견해 보고한 남아프리카공화국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대유행을 끝내려면 저소득국가에 만연해 있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 ...
"화이자 코로나 치료제 위중증·사망 위험 89%줄여…오미크론도 효과" 최종임상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머크앤드컴퍼니(MSD)에서 개발한 몰누피라비르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에 오류를 삽입해
돌연변이
를 일으키는 것과 달리 팍스로비드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임상시험 결과 팍스로비드 복용시 나타나는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미했고, 강도도 오히려 위약보다 낮을 ... ...
머크 먹는 코로나 치료제 왜 '게임체인저' 기대감 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MSD가 개발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 MSD 제공. '게임체인저'라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가 효능이 ... 내 FDA로부터 승인 권고될 전망이다. 팍스로비드는 몰누피라비르와 작용 원리가 달라
돌연변이
에 대한 위험은 지적되지 않았다 ... ...
오미크론 변이 백신 회피력 있지만...3차접종 받으면 중화항체·세포면역 효과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1.12.11
바이러스 부위를 바꿨는지를 분석한 결과 T세포가 인식하는 부분에서 단 하나의 유전자
돌연변이
만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앞서 레드 연구원팀은 5월 국제학술지 ‘감염병 오픈포럼’에 T세포 반응이 알파와 베타, 감마 변이가 발생했을 때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 ...
[팩트체크]오미크론 변이는 감기 바이러스의 혼종?
동아사이언스
l
2021.12.10
감기바이러스에도 이 위치에 똑같은 EPE 서열이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돌연변이
가 오미크론 변이 외에 다른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코로나19와 감기에 동시에 걸린 한 환자의 몸속에서 감기의 유전자가 코로나19 변이에 끼어들면서 생겨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몹시 힘겨운 일상회복의 길
2021.12.08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언론에 등장하는 변이가 전부가 아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는 일상적인 일이다. 바이러스의 변이에는 어떠한 규칙성이나 방향성도 기대할 수 없다. 그야말로 ‘돌연한 변이’일 수밖에 없다. 새로운 변이의 ‘전파력은 커지고, 독성은 약해진다’는 주장은 근거를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