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황금
골드
균열
줄
재물
갈라진 틈
금전
뉴스
"
금
"(으)로 총 72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현상도 크레이징이라고 부른다(오른쪽). 이 부분을 현미경으로 보면 플라스틱에 미세한
금
이 가 있다. 위키피디아/강석기 제공 플라스틱은 고분자 가닥이 서로 엉켜 있는 상태다. 서로 화학결합으로 묶여 있지 않아도 단단한 고체를 유지하는 건 긴 고분자 사이에 반데르발스힘(Van der Waals force)이라는 ... ...
자연에 없는 '마법의 물질’을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회사였던 3M은 46개의 코어(핵심) 기술을 정해놓고 시대나 환경이 변하면 거기에 맞춰 조
금
씩 변화하며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며 “과거 OHP 기기와 필름을 만들어 팔던 회사도 3M이고 오늘날 간판이나 텔레비전 등의 액정(LCD) 디스플레이에서 빛을 밝게 반사하는 기술로 돈을 버는 회사도 3M이다. 빛을 ... ...
[우주개발의 뉴웨이브]룩셈부르크는 왜 우주광물 회사에 투자했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도로의 기점이었으며 전통 철강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했다. 철강업이 내리막길을 걷자
금
융업에 눈을 돌렸고 우주를 포함한 신산업 육성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세계 최대 철강 회사 ‘아르셀로미탈’과 세계적인 위성 운영회사 ‘SES’가 룩셈부르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유럽 재판소나 유럽 의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이제는 사시사철 캘리포니아산 아몬드를 먹을 수 있게 됐다. 반면 복숭아는 그때나 지
금
이나 생과는 무더위가 한창일 때 잠깐 맛볼 수 있다. 이 글을 쓰면서 필자는 수시로 아몬드를 집어 먹었는데 그럴수록 복숭아 생각이 더 간절했다. 머지않아 복숭아가 나오기 시작하면 잘 익은 백도(白桃)를 실컷 ... ...
LCD처럼 작동하는 DNA디스플레이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정렬될 때 광학 및 전기적 특성이 극대화되는데 연구팀은 DNA 마이크로패치를 틀로 삼고
금
나노막대들을 독특한 형태로 정렬해 플라즈몬 공명 기반 컬러 기판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윤 교수는 “DNA 기반 구조체로 광학소재 및 복합체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라며 “자연계에 ... ...
지구 것 아닌
금
(金) 출처는 대형 별 초신성 폭발
연합뉴스
l
2019.06.16
아니라 백
금
, 우라늄 등 철보다 무거운
금
속 원소들은 태곳적 우주에서 받은 것으로, 지
금
까지는 중성자별끼리 또는 중성자별과 블랙홀이 충돌하면서 생성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우주의 무거운 원소 중 80% 이상이 그동안 비중이 미미할 것으로 여겨졌던 초신성(슈퍼노바) 폭발을 통해 ... ...
[과학게시판] NST, 신용보증기
금
과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스타트업 성장 지원 프로그램인 ‘Start-up Nest’를 통해
금
융 및 비
금
융 육성 플랫폼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오는 29일과 31일 전국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과학영재학교에서 선발한 산기협 꿈나무 장학생을 대상으로 기업 생산시설과 연구소를 방문해 ... ...
분해되는 친환경 페트 대량생산 길 열렸다···플라스틱 대체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음료수병에 널리 쓰이는 페트(PET)를 대체할 수 있는 페프(PEF)는 그동안 원료를 얻기 힘들었다. 동아일보 DB 국내 연구진이 음료수병에 널리 쓰이는 ... 원료 생산용 촉매 모식도. 게 껍질 등에 많은 키토산으로 탄소 지지체를 만들고 거기에
금
속 입자를 입혔다. 사진제공 ACS 지속가능 화학 및 ... ...
머리카락 이용해 습도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기계공진기를 제작했다. 머리카락이 기타 줄처럼 팽팽하게 고정되고 광학적 측정을 위해
금
을 부착시켰다. 머리카락 길이가 아닌 공진 주파수를 측정했다. 공진 주파수는 물체가 자유진동할 때 일어나는 고유 진동수와 거의 유사한 진동수를 뜻한다. 연구팀은 습도가 증가하면 머리카락이 ... ...
‘아른아른’ 화면 빛반사 줄일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1nm는 10억분의 1m)에 불과해, 아주 일부 색의 가시광선만 흡수했다. 연구팀은 기존
금
속 대신 은의 결정 구조를 바꾼 메타물질을 써서 흡수 파장 영역을 10배가 넘는 300nm까지 늘렸다. 방해되는 빛을 제거할 확률이 높아진 것이다. 홍 선임연구원팀은 이 소재를 응용해 실제로 다양한 색을 구현하는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