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수"(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파고, 이젠 인간이 도전해야 할 ‘바둑의 神’으로”동아일보 l2016.03.11
- 복기하는 모습을 보면서 컴퓨터와의 대결은 외로운 싸움이라는 걸 느꼈다”며 “(인간) 고수라면 상대하고 싶겠지만 알파고와의 대결은 피하고 싶다”고 말했다. 나머지 기사들은 모두 승부사답게 기회가 온다면 피하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조혜연 9단은 “알파고가 판후이 2단과 대결 이후 ... ...
- [알파고 2승] 알파고, 네 부모님이 누구니2016.03.11
- 나은 전략을 찾았다. 승률이 가장 높을 만한 곳을 찾는 전략을 더하면서 ‘인류(人類) 최고수’를 꺾는 실력을 보유하게 됐다. 알파고의 실체를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지만 실체를 보긴 어렵다. 알파고는 수많은 컴퓨터를 병렬로 연결한 분산형 컴퓨터이기 때문이다. 이마저도 어느 한곳에 있지 ... ...
- [알파고 2승][제2국 분석] 알파고에게 ‘당연한 수’는 당연하지 않았다2016.03.11
- 두터움과 계산력에 이세돌 9단의 전투력을 모두 겸비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바둑의 고수가 되려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고, 배울 수 있을 겁니다. 특히 포석단계에서의 자유로운 발상은 인류가 만든 인공지능이 인류에게 주는 선물이 아닌가 싶습니다. _김찬우 프로6단” ▶대국 일시: 2016년 ... ...
- [알파고 1승][제1국 분석] 이세돌이 돌을 던지게 만든 ‘신의 한 수’는?2016.03.09
- 68수, ○백 70수: ○ 68, 70수 - 바둑의 제왕 제공 바둑 격언 중 ‘빈삼각도 둘 줄 알아야 고수’라는 말이 있습니다. 알파고는 바로 이 격언을 눈앞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빈삼각의 묘수로 흑을 약하게 만들면서 자기 돌을 보강했습니다. 알파고의 실력이 어디까지인지 가늠하기 어려운 대목이라고 할 ... ...
- “직관력은 인간이 한 수 위” vs “컴퓨터는 긴장하지 않아”2016.03.09
- “인간이기 때문에 실수는 피할 수 없고 질 수도 있다”고 했다. 알파고도 인간 고수라면 저지르지 않을 초보적 실수를 종종 한다. 김찬우 6단은 “한 곳에서의 모양이 완전히 정리되지 않았는데도 손을 빼고 다른 데를 두거나 유리할 땐 지나치게 안전 위주의 수를, 불리할 땐 엉뚱한 수를 두는 ... ...
- [팟캐스트 ‘과학동아 Live’ ②]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03.06
- 다음에 어디에 둘지’를 예측한다. 알파고의 정책 신경을 기반으로 본 바둑판. ‘인간 고수라면 어디에 둘까’를 예측한 것인데, 오른쪽 아래의 한 점이 79%로 가장 높았다. - 과학동아 제공 개발팀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정책신경을 기반으로 한 알파고1과 알파고2를 대결시켜, 인간을 이길 수 ... ...
- [팟캐스트 ‘과학동아 Live’ ①]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03.05
- 잘못 배웠을 가능성도 있다. (웃음) 한국 프로 기사들의 기보는 1만6000개 정도다. 왜 이런 고수들의 기보를 사용하지 않고, 아마추어들의 자료까지 참고한 걸까. 함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데이터가 필요한 것 같다. 한 알파고는 13개의 층위로 이뤄져 있다.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차이가 ... ...
- 벤츠코리아, 개별소비세 환급하기로동아일보 l2016.03.05
- 인피니티, 볼보 등 수입차 업체들은 ‘개소세 인하분 환급은 없다’는 기존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박은서 기자 clue@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이것’ 비상 - 주미 中대사 “아베 ... ...
- 메신저 앱의 사이버망명을 준비하는 당신의 선택은?2016.03.04
- 마지막 접속 시간 비공개 설정 방법 - 텔레그램 캡처 제공 [선택2] 불안하지만 카카오톡을 고수하겠다면?…2014년의 데쟈뷰 카카오톡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모바일 메신저입니다. 메신저 프로그램을 넘어 게임도 하고 택시도 타고 인터넷 쇼핑도 하고요. 이처럼 ... ...
- [토요일에 만난 사람]“징그럽게 생겼다고요? 곤충이 90억 인류의 미래”동아일보 l2016.02.27
- 넘보기 힘든 ‘초격차(超隔差)’를 만들어야 힘겹게 얻은 세계 반도체 1위라는 자리를 고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우상 동아사이언스 기자 idol@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이것’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