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흐름"(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어장은 움직이는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미국 MIT대학교의 연구팀은 지름 19m 크기에 양 옆에는 프로펠러가 달린 양어장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양어장은 평소에는 물의 흐름에 따라 움직이다가 너무 멀리 떠내려가면 프로펠러를 이용해 제자리로 돌아와요. GPS 수신기와 자동 경로 변경 프로그램을 장착하면 자유롭게 바다를 떠돌아다니다가 수확에 맞춰 자동으로 돌아오는 일도 가능하다고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2008년에도 서울 자유로 등지에서 시험 운영되고 있다. 2단계 지능형 신호 체계 검지기를 통해 도로의 상황을 알았으면 그에 맞게 교통 흐름을 관리해야 한다. 여기에는 체증을 줄여 주는 똑똑한 신호등이 필수! 교통 체증 뚝!-스스로 생각하는 신호등 신호등의 녹색 불은 언제 켜질까? 정답은 ‘신호등밖에 모른다.’ 사람이 미리 입력한 시간에 맞춰 ...
- 으라차차! 내 몸으로 만드는 에너지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속에 있는 포도당은 산소와 결합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데, 이 때 포도당에서 전자가 나오게 돼. 전기는 전자의 흐름이므로 이 전자를 이용해서 전기를 만드는 거야. 하지만 이 때 나오는 전기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촉매를 이용해 포도당에서 나오는 전자의 수를 늘려야 한단다. 이론적으로 사람이 먹는 음식을 모두 전기로 바꾸면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80630
- 일종인 ‘독도 007’! 둘 다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신종으로, 독도라는 이름을 널리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단다. 바닷물의 흐름도 독도를 지키는 데 공헌하고 있어. 보통 깊은 바다 속에서 흐르는 해류의 속도는 초속 몇 센티미터 정도밖에 안 돼. 하지만 독도의 깊은 바다 속에서는 초속 28.47m로 강하게 흐르는 독특한 해류가 있어. 이 ...
- 에너지 왕국 구출 대작전(1)어린이과학동아 l20080530
- 물! 지구의 70%가 바다 아니겠습니까? 달은 바닷물을 당겨서 밀물과 썰물을 만들지요. 또 철썩이는 파도와 빠르게 흐르는 바닷물의 흐름도 있고요. 이런 바닷물의 움직임을 이용해 터빈을 돌리면 전기를 얻을 수 있죠. 그러나 바다를 막으면 생태계에 피해가 갈 수도 있어 걱정이 좀 되는 건 사실입니다. 그래서 조력 발전시설을 만들기 전에 생태계에 피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1)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생활을 바꾼다![소제끝] “어때요? 이제 커다란 발명에는 커다란 책임이 따른다는 사실을 알겠죠? 하지만 걱정할 것 없어요. 역사의 흐름을 바꾸어 놓을 정도로 커다란 발명만 발명인 것은 아니니까요. 생활 속에서 불편한 점을 찾아서 개선하는 것도 훌륭한 발명이에요. 간단한 아이디어 하나가 우리 생활을 얼마나 크게 바꾸어 놓았는지 알면 놀랄 거예요.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이용한 모터가 바로 그것. 열차의 아래쪽에는 영구자석을, 레일 위에는 전기가 흐를 때만 자석이 되는 전자석(6)을 붙여 놓고, 전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 결과 전기만 조절하면 자석끼리 밀고 당기는 힘이 생기면서 열차가 앞으로 나갈 수 있게 됐다. 이 때의 순간적인 힘은 몇 초 만에 시속 193㎞를 낼 수 있을 정도라 거의 90 ...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2)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1
- 부분을 끝점, 융선이 두 개로 갈라지는 부분은 분기점이라고 불러. 지문의 가장 중심부분에 변화가 급격한 곳은 중심점, 융선의 흐름이 세 방향으로 이뤄지는 곳은 삼각주라고 부르지. 조금 복잡하지? 그림으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야. 이런 융선의 특징적인 부분들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을 이용해 바이오인식을 하는 거야. 기계가 인식한 지문의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시간의 흐름은 아무도 잡을 수 없다. 하지만 만약 누군가가 시간을 잡는다면…. 그것은 바로 미래.” 비록 지금의 과학으로는 시간의 흐름을 되돌릴 수 없지만 미래가 되면 또 엄청나게 과학이 발전해 타임머신을 만들 수 있을지도 모르죠. 그 가능성을 위해 오늘도 취급주의 방은 열심히 연구열을 불태우고 있답니다. 활활~ ...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1)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속도로 운동하면 시간은 느려지고 길이는 줄어들며, 아주 거대한 행성처럼 중력이 큰 물체들은 주변의 공간을 휘게 만들어 시간의 흐름을 바꿔 놓지. 아휴, 얼굴 표정을 보니 도통 못 알아듣겠단 표정이군. 괜찮네. 다만 우주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갖는 것은 빛이며, 빛의 속도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 정도는 기억해 두게. [소제시작]니들이 물질을 알아? ...
이전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