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회사내"(으)로 총 1,69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언제부터였는지 이제 와서는 잘 모르겠다. 너는 초음파에 영 잡히지 않아서 한동안 우리를 애태웠거든. 분명 아기집은 잘 생겨있는데, 네가 보이질 않는다는 거야. 혹시나 몰라서 오줌 검사를 하고 피 검사를 하면 분명 임신이라고 나오는데 말이지. 네 형체가 명확하게 초음파 검사에 잡히기 시작 ...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불.가.능.파란 장미의 꽃말이다. 파란 장미는 자연적으로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의 위스키 제조회사인 산토리(Suntory)와 호주 벤처인 플로리진(florigene)이 유전자를 조작해 파란 장미를 만들었지만, 실제 색깔은 파랗다기 보다는 연보라에 가깝다. 아직까지 진정한 의미의 파란 장미는 탄생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10평 남짓 될까. 말 그대로 아수라장이었다. 책상만 8개, 각양각색의 스티로폼 모형이 놓여 있었다. 어떤 건 미완성이라 깨끗한 반면, 어떤 건 누군가 애써 붙여 놓았을 나무와 사람 모형이 다 쓰러져 달랑거리고 있었다. 모형일 뿐인데, 실제 도시의 흥망성쇠가 보이는 듯 했다. 소신있게 건축학도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X는 누구일까. 내가 X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민정과 똑같은 이름, 나이, 본적, 그리고 주민등록상에 남아 있는 오래된 사진 뿐. X는 어떻게 생긴 사람일까. 도대체 지금은 어디에 있는 걸까. 진원은 민정의 방에서 발견한 신원불상의 DNA를 분석하면 얼굴을 추정해낼 수 있을 거라고 했다. X의 얼굴이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윽! 이 징그러운 녀석이 내 뱃속에서 영양분을 뺏어 먹으며 기생하고 있다니,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매년 봄, 가을에 엄마가 사다주시던 기생충 약을 안 먹은지 얼마나 됐더라. 회도 육회도 좋아하는 내 뱃속에 기생충이 가득 꿈틀거리고 있는 건 아닐까. 우웩!흔히 볼 수 없지만, 그나마 있는 기생 ... ...
- Prologue. 당신, 도대체 누구야?과학동아 l2017년 08호
- #1“따르릉” “네, 여보세요.”“김민정 씨?”수화기 너머로 남자의 목소리가 들렸다. 왠지 모르게 신경이 쓰여 귀를 기울였지만, 무슨 대화인지는 들리지 않았다. 그 전화 이후 민정이는 말이 없었다. ‘결혼식을 한 달 앞둔 이들에게 으레 있는 일이리라’고 생각했다.“민정아, 들어가. 내일 청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양자의 일종인 광자에 정보를 담아 기존 광케이블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양자암호통신’ 기술 개발 경쟁이 세계적으로 뜨겁다. 여기에 최근 몇 년간 양자의 정보를 다른 곳으로 순식간에 옮기는 실험들이 속속 성공하고 있다. 빠르게 도래하고 있는 양자통신기술의 실체 속으로 들어가 보자.양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채 9시가 되지 않은 밤이었다. 신도시의 주공 아파트 단지로 우주선 한 대가 진입했다. 인류의 역사에서는 처음 있었던 일이지만 우주선의 크기가 만두 가게에서 쓰는 쟁반 크기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게 우주선인지 알아 채고 놀라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심지어 아파트 8동의 경비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유출사고 발생! 대피! 대피!”6월 8일 목요일 오후 2시, 화학회사의 로고가 적힌 거대한 시멘트 건물과 노란 페인트를 칠한 크레인이 빼곡한 인천 남항. 바다 쪽 100m 밖에 설치한, 화물을 하역하는 돌핀부두에서 오렌지색 연막탄이 피어 올랐다. 짙은 연기 속에서 누군가 팔을 내저으며 뛰쳐나왔다.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우리는 암을 완전히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다. 사람을 쥐로 만들면 된다.” 암유전학 분야 대가인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버트 보겔스타인 박사가 지난 4월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학술대회 기조연설에서 우스갯소리로 한 말이다. 실제로 쥐는 암으로 죽는 일이 거의 없다. 암 덩어리가 작아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