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피부"(으)로 총 2,457건 검색되었습니다.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흉선을 제거한 어린 생쥐에게 다른 생쥐의 피부를 이식하는 실험을 진행했고, 이식받은 피부가 괴사하는 면역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물론 이때도 흉선이 쓸모없는 장기가 아니라 면역학적으로 중요하다는 정도만 확인했을 뿐 정확히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몰랐다.오랜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연구팀은 곧바로 폴리오바이러스에도 도전했다. 인간 배아의 팔과 다리에서 분리한 피부, 근육 조직세포를 채취해 배양한 뒤 폴리오바이러스를 접종했다. 67일 뒤 배양액을 실험쥐에 접종하자, 실험쥐에서 마비 현상이 일어났다. 이는 폴리오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증식시킨 최초의 연구이자,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교배시켜 유전적으로 비슷한 개체군을 여러 개 만들고, 한 개체군에서 다른 개체군으로 피부종양세포를 이식했다. 그 결과, 이식받은 개체군에서는 암세포가 증식하지 못했다. 이는 이식받은 개체에서 거부반응을 일으켰다는 뜻이다. 스넬은 여기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기 시작했다. 쥐의 꼬리를 ...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특징이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고열과 설사 등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심하면 피부발진과 내출혈 증상이 동반된다. 내출혈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에볼라 출혈열 유행병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렸다.에볼라바이러스는 숙주세포 표면 수용체에 바이러스의 당단백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등을 유발하는 써코바이러스처럼 유전물질이 단일가닥 DNA인 바이러스(Monodnaviria)와, 인체 피부에 수포(물집)를 발생시키는 헤르페스바이러스처럼 이중가닥 DNA를 갖는 바이러스(Duplodnaviria)가 있다. 그리고 유전물질로 RNA를 갖는 바이러스(Riboviria)에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이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반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만큼 수지상세포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피부뿐만 아니라 관절, 신장, 폐 등 전신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자가면역질환이 생길 수 있다.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는 수지상세포의 여러 수용체와 결합해 인체를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낮다는 가정하에 선천 면역반응을 통해 충분히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소에는 피부세포의 장벽에 가로막혀 감염을 일으키지 못했던 박테리아 A집단이 상처가 난 부위를 통해 우리 몸에 침입하면, 이를 먹어 치우기 위해 식세포 등 면역세포가 모여든다. 특히 식세포 중 몸속에 가장 많이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물리면 죽을 것이고, 독개미에 물리면 아주 아프거든요. 저도 무언가에 물려 1~3일간 피부가 부어오른 일이 허다했는데, ‘마메시아’라 불리는 독개미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호주에서는 슬리퍼를 포기하고 장화를 신은 이유입니다.차까지 도착한다고 해도 끝이 아니었습니다. 비의 양이 ...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대부분의 사람이 천연두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천연두바이러스는 피부의 상처 부위에서 떨어져 나온 딱지에서도 수년 동안 살아남을 정도로 생존력이 뛰어나며, 단백질을 섞어 무기로 만들기도 쉽다. 더군다나 과거보다 훨씬 발전한 유전공학 기술로 더 높은 치사율을 행사할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지 24시간이 안 된 쥐 A에 다른 쥐 B의 림프구를 주입하면 이후 쥐가 다 자랐을 때 쥐 B의 피부를 쥐 A에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953년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면역 관용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버넷과 이를 실험으로 증명한 메더워는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