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널"(으)로 총 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더뮤지션은 배경으로 나오는 MR과 유저가 치는 피아노 소리를 1/60 초마다 믹싱해 채널 하나에 담은 다음 들려준다. 믹싱한 결과를 압축하는 기술도 필요했다.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는 낼 수 있는 소리의 크기에 한계가 있다. 여러 개의 음원을 합치면 그만큼 소리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가까워 보입니다. 현재 도키에다 교수는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지원으로 만드는 유튜브 채널 넘버파일에서 ‘타다시의 토이(장난감)’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요. 한 달에 한 번 꼴로 장난감 속 수학·과학 원리를 동영상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답니다. 각운동량 보존법칙을 거스르는 래틀백 ...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모터를 갖고 있으며, 편모를 회전시켜 액체 속에서 수영한다. 관찰 결과, 이 세균의 이온 채널을 통해 양성자가 세포 속으로 흘러가면 모터가 회전했다. 만약 유영하던 세균이 숙주 세포의 점막 표면에 닿으면 모터가 제대로 회전하지 못했고, 이 때 양성자의 흐름이 차단됐다. 그러자 카울로박터는 ... ...
- Part 4. [네 번째 사연] 동물 없는 동물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영상으로 만날 수 있게 한 거예요. 기린Cam을 보기 위해 51만 여 명의 사람들이 유튜브 채널을 구독했죠. 또 미국 샌디에고 동물원 홈페이지에서도 판다, 코알라, 북극곰 등이 등장하는 8종류의 인터넷 방송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동물이 한 마리도 없는 파격적인 동물원도 있어요. 바로 일본 ‘오비 ... ...
- 네 감정을 맞혀볼까? 취조실에 나타난 표정분석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마침 정치인의 감정을 추측하는 기사가 눈에 띕니다. 지난 7월, 시사주간지 ‘시사인’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삼성의 경영권 승계를 도와줬다는 의혹과 관련한 문건을 찾았다고 말하는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의 표정에 ‘0.36%의 기쁨과 0.3%의 경멸’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표정분석기로는 마이크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칼슘 채널이 있습니다.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이 정자의 ‘ABHD2’ 단백질과 결합하면 칼슘 채널이 열리고요, 여기로 대량의 칼슘이 유입되면 꼬리가 아래를 치면서 움직이게 됩니다. 미국 UC버클리 분자및세포생물학과 폴리나 리시코 교수팀은 뇌공등(Tripterygium wilfordii )이라는 식물에 들어있는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KT 측은 현재 분당-성남(17.8km), 분당-용인(68km) 등 5개의 양자채널을 연결해 양자암호통신을 시험하고 있다.단일광자를 이용한 유선양자암호통신은 2005년 미국 스탠퍼드대와 일본의 통신그룹 NTT가 105km의 거리에서 전송실험에 성공했으며, 최근 유럽에서는 143km 떨어진 ... ...
- 인형뽑기 마스터의 길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인형을 잡은 힘이 약해진다. 마스터의 비법을 전수받다실제로 인터넷이나 유튜브 채널에는 인형뽑기 고수들의 노하우가 실린 영상과 글이 많이 올라와 있다. 고수들은 구태여 설정을 푸는 일 따위는 하지 않았다. 집게에 회전을 주거나 반동을 주는 등 기술적으로 인형을 뽑는다.그러던 중 기자는 ... ...
-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하게 한 뒤, 이후 다시 몇 주 동안 총 300~350시간 동안 명상하게 했다. 그리고 뇌전도(EEG) 채널 32개로 뇌의 전후 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 명상을 하고 난 뒤 10Hz 부근의 뇌파 신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안정된 상태에서 나오는 뇌파인 ‘알파파’였다. 알파파는 명상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측 ... ...
- [Career] 5G 기술로 자유를 선물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변한 전파의 형태를 통해 송신자가 보낸 정보를 유추해야 한다. 이때 발생하는 오류를 채널 추정의 오류라고 한다. 심 교수는 “여러 안테나가 있는 상황에서는 송신자의 정보를 유추하기가 더 어렵다”며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면 안테나가 조금만 늘어도 전송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