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망
체념
실패
막힘
쇠약
d라이브러리
"
좌절
"(으)로 총 3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미·소 탐험 경쟁서 미국 주도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N-1 로켓은 러시아의 첫인공위성을 발사한 A-1 로켓을 개발한 코롤로프가 맡았다.루나의
좌절
과 성공러시아의 달탐험에 필요한 자료 수집은 루나(Lunar)계획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1958년부터 시작된 이 계획은 초창기에 많은 실패를 거듭했다. 그러다가 1959년 루나 3호가 달 뒷면 촬영에 처음 성공했다. ... ...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등 상업용위성, 과학위성 등이 이곳을 거쳐 우주공간에 안착했다. 케네디우주센터는
좌절
의 역사도 가지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86년 챌린저 사고. 발사후 7초만에 공중에서 잿더미가 되는 것을 지켜보았던 쓰라린 경험을 간직하고 있다.이곳의 명물은 하늘을 찌를듯이 솟아있는 발사대와 ... ...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이듬해 인도의 핵실험으로 핵무기 확산을 우려한 미국의 극렬한 반대에 부딪혀
좌절
하고 만다. 이에 박대통령은 당초 계획을 축소해 프랑스 차관으로 우라늄 정련 시설을 도입하는데 그쳤으나 1976년 한국 핵연료개발 공단을 설치해 자체적으로 핵무기 개발을 시도하는 등 미련을 버리지 못한 것으로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주창한 고르바초프 시절 인마샛2의 발사를 제안하기도 했으나 미국의 방해로 의해
좌절
된 바 있다.옛소련 로켓의 간판주자는 에네르기아다. 그러나 이 로켓은 워낙 대형(저지구궤도에 올릴 수 있는 페이로드 용량이 30t)이기 때문에 상업용로켓시장에서는 경쟁력이 없다. 유럽의 아리안이나 미국의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우주의 모습 또한 완벽한 대칭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주장이다. 케플러에 의해 한번
좌절
된 기하학적 완벽성은 1950년대 말 '미러의 비대칭성'(거울에 비친 우리 자신의 모습이 완벽한 대칭성이 아니라는 주장, 1백만번에 한번은 대칭성이 깨진다는 것)으로 다시 한번 위기를 맞았고, 60년대 중반 ... ...
일본 '하이비전' 고립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차세대 TV를 놓고, 세계를 제패하려던 일본의 야심이
좌절
위기에 몰렸다. 지난 70년부터 HDTV 개발에 들어가 이 분야에서는 단연 세계의 선두주자였던 일본이지만 최근 미국과 유럽이 독자적으로 HDTV개발에 들어가면서 일본이 연구해온 아날로그 전송방식 대신 ... ...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우리는 마음껏 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긴 셈이지요." 정인대 책임연구원의 말이다.중간에
좌절
의 순간도 많았다고 한다. 흔한 말로 기술자문을 해줄 수 있는 곳도 없었고 그렇다고 자체 팀이 경험이 풍부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임달호 교수팀이나 박찬일 부장팀이 지주가 돼주긴 했지만,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으로(88년) 야심차게 시작한 포보스계획도 2호가 화성 도착 2개월만에 통신이 두절되는
좌절
을 겪고 말았다.90년대의 화성탐사는 마르스옵서버를 시작으로 미국과 옛소련 양국 중심에서 본격적인 국제협력 시대로 발전할 전망이다. 소련이 붕괴됨에 따라 러시아가 화성탐사의 맥을 잇고는 있지만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사랑을 얻기 위해서 인간은 수십만년간 쉬지 않고 투쟁해 왔다. 인간의 욕망이 실패와
좌절
에 부딪힐 때 불안을 느끼게 되고 자연히 어떻게 하면 불안한 상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은 인간의 가장 큰 관심사의 하나였다.단조로운 말을 반복해서 외우면…종교는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별과 별 사이의 거리는 터무니없이 훨씬 더 멀어서 우주여행의 꿈을 키워온 인류를
좌절
시키고 있다.이번 호에서는 행성과 별들의 시운동에 관해 알아 보자.행성의 시운동 행성들은 언제나 황도 근처에서 발견된다. 이는 물론 우리 태양계가 거의 한 평면상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즉 행성들은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