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방
자유
d라이브러리
"
자유자재
"(으)로 총 51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속도와 떨어진 거리를 계산해 앞쪽에다 조준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런데 나비는
자유자재
로 비행방향과 속도를 바꾸므로 이런 예측이 불가능하다.나비를 잡으려다 허탕을 친 새들은 결국 눈에 띄는 생김새에 현란한 비행을 하는 곤충을 보더라도 쫓을 생각을 안 하게 된다. 설사 운 좋게 나비를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처음부터 마이크로 거울로 망원경을 만들자는 생각을 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각도를
자유자재
로 움직이는 마이크로 거울을 보고 ‘인공 눈’을 상상했다. 사람의 눈처럼 시야를 돌려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다니는데다가 확대까지 가능한 인공 눈을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그 뒤 러시아와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버리고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큰데, 양이온 금속끼리 결합돼 있는 사이를 전자들이
자유자재
로 돌아다닌다. 이들을 자유전자라고 부르는 이유다. 금속은 이런 금속결합으로 형태를 유지하고 금속광택을 내며 전기전도성을 나타낸다.탄소 화합물_면발이 부드러운 이유흐르르. 치이익.잠깐 한눈을 ... ...
동물원의 동물이 야생으로 간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먹이를 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도르래를 이용해 높은 곳에 먹이통을 설치했어. 또한 혀를
자유자재
로 움직이는 습성을 고려해 그물망에 건초를 넣은 뒤, 구멍 사이로 먹이를 빼먹을 수 있게 했단다. 천둥과 비까지 야생처럼!미국 샌디에고 동물원의 조류 전시실은 야생과 거의 흡사해. 폭포와 이국의 ... ...
천연섬유의 변신은 무죄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넓어진 이유도 플라스틱을 빼놓고 얘기할 수 없다. 플라스틱은 가볍고 튼튼하며 모양을
자유자재
로 바꿀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플라스틱만으로는 강도나 유연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플라스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신소재가 플라스틱에 섬유를 넣어 만든 FRP(섬유강화플라스틱 ... ...
‘데이비드 카퍼필드’ 꿈꾸는 아마추어 마술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1명이 참가해 그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선보인다. 올해는 회장 최정민(07학번) 씨가 CD를
자유자재
로 사라지게 했다가 다시 나타나게 하는 마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최 씨는 “시상을 하거나 순위를 가리지는 않지만 학교를 대표해 나가는 만큼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6일에는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몸길이 1.8m, 몸무게 20kg의 작은 몸에 비해 영리하다.앞발의 날카로운 갈고리 발톱을
자유자재
로 사용하는 제2의 포식자.단단한 꼬리는 재빨리 방향을 바꾸거나 균형을 잡는 데 이용한다.아시아(몽골, 중국)에서 뼈 화석이 발견됐고 국내에서는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다큐에서는 점박이 동생 하나를 ... ...
서울시립대 마이크로로봇 연구회 ‘제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전농동’에서 ‘전농동’과 ‘도쿄 드리프트’에서 ‘드리프트’를 따와 이름을 붙였다.
자유자재
로 모습을 바꾸는 로봇 ‘트랜스포머’나 전투기와 같은 속도로 하늘을 나는 ‘아이언맨’의 로봇형 슈트를 만드는 일은 영화 속에서나 가능할까. 그런데 ‘로봇을 만드는데 불가능은 없다’고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않다. 하지만 초소형 기계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카시미르 힘을 극복하는 것을 넘어
자유자재
로 조절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2005년 하버드대 페데리코 카파소 교수는 에탄올에 잠겨 있는 금도금된 폴리스티렌 구와 테플론 판 사이에 반발하는 카시미르 힘이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 ...
아름다운 올림픽 챔피언 몸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저항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설명이다.펠프스는 유연한 발목 덕분에 300mm가 넘는 발을
자유자재
로 움직인다고 하니, 이는 마치 발에 물갈퀴를 찬 것 같은 효과다. 펠프스는 전형적인 돌고래 체형인 셈이다. 그의 돌핀 킥이 강력한 추진력을 발휘하는 데는 이유가 있었다.문 박사는 “수영선수의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