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식
후예
혈통
씨앗
종자
뿌리
근본
d라이브러리
"
자손
"(으)로 총 481건 검색되었습니다.
2 동백 고향을 떠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있다.나무는 자기가 잘 자랄 수 있는 기후환경에서 다른 나무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아
자손
을 퍼뜨리며 숲을 이룬다. 따라서 기후변화는 숲을 이루는 나무의 종류에 변화를 가져오는데, 지금처럼 기온이 상승하면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나무들은 북쪽으로 이동하고 남쪽에 있던 나무들이 올라올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등 인위적인 영향으로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돌연변이는 보통 생식세포에서 일어나
자손
에게 전해진다골짜기가 침식작용으로 여러 가지 새로운 지형으로 변화하는 것 특히 유수의 침식작용에 의해 골짜기가 깎이는 경우를 말한다 개석의 정도(개석도)는 골짜기의 분포밀도, 골짜기의 깊이 너비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사실입니다. 예컨대 다세포 생물은 단세포
자손
을 가질 수 없으며 진핵생물은 원핵생물
자손
을 낳을 수 없는 식이죠. 이런 의미에서 굴드 교수님이 아까 비유하신 술꾼 모형은 생명의 진화 모형으로 적절치 않아 보입니다. 왜냐하면 생명체가 전환 문턱을 넘기까지는 무작위적으로 비틀거릴 수 있다 ... ...
4백30년전 애달픈 사연 담은 파평윤씨 母子 미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관주위에 회를 쳐 밀봉한 뒤 봉분을 쌓는 무덤이다. 당시 사람들은 뼈가 온전해야
자손
이 이어진다고 믿었기 때문에 관이 썩어 부서지지 않게 이처럼 회곽를 둘렀다.포크레인으로 회곽을 제거하자 목관이 드러났다. 천판, 즉 관의 뚜껑을 열자 관속에 또 관이 있는, 즉 외관과 내관의 이중관 ... ...
유전자 하나로 종 분화되는 달팽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마치 오른손과 왼손이 서로 악수를 하려는 형국이다.그러나 돌연변이체들끼리 만나면
자손
을 낳을 수 있다. 그 결과 새로운 종이 탄생한다. 실제로 유하드라라는 속에 속하는 20종의 달팽이 중 4종이 시계반대방향의 껍질을 갖고 있다. 연구자들은“이번 연구는 유전자가 하나만 바뀌어도 종이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만드는 능력 때문에 커피나무는 인류의 도움으로 지구상의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자손
을 퍼뜨린 성공적인 종에 속한다. 그러나 인류가 카페인의 맛에 취한 것은 기껏해야 2천-3천년 정도다.커피하면 남미의 콜롬비아나 브라질이 연상되지만 커피나무의 원산지는 오늘날 에티오피아 영토인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물론 기계의 번식은 단백질로 구성된 생물의 번식과는 다른 방식이지만 자신과 닮은
자손
을 만들어내는 번식이라는 의미에서 보면 우리와 마찬가지다. 어머니 기계는 자신의 저장 공간에 마치 인간의 DNA와 같은 자신의 설계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그 설계도에 따라 2세를 만든 후 2세에게 자신의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이기적 유전자 이론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유아 살해는 자신의 유전자가 섞이지 않은
자손
에게 엄청난 양의 양육 투자를 하기 곤란한 경우에 부모에 의해서 벌어지는 비극일 수 있습니다.굴드(G팀): 자꾸 그런 결론을 내리니까 제가 도시락 싸들고 다니면서 비판하는 것 아닙니까. 부모와 자식간의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9)와 아버지로부터만 유전되는 유전자(Igf2)를 찾아냈다. 물론 이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자손
에게 유전되는 메커니즘도 밝혀냈다. 핵심은 메틸화였다.Igf2와 H19는 조금 떨어진 거리를 두고 같은 염색체 위에 위치한다. 또한 이 두 유전자 사이에는 메틸기가 붙을 수 있는 CpG 지역이 존재한다. 두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가진다. 암수의 성비가 1:1에 묶여 있지 않고 활동이 왕성한 시기에 암컷을 많이 만들어
자손
을 번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생식에 대한 온도의 범위가 한정돼 있어 지역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거나 지구의 온난화가 가속화되면 온도에 의존하는 종들은 멸종의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크다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