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전"(으)로 총 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북한의 60만㎾ 원전 건설과학동아 l1986년 10호
- VVER 형일것으로 예측된다.VVER형으로 1964년 처음 건설된 소련의 ‘노보보로네지’원전의 경우 열출력은 76만㎾, 1.5~3%의 농축우라늄을 40t 장착하며, 원자로의 높이는 11.2m, 직경 3.8m, 격납 용기의 두께는 10cm이다 ... ...
- 환경방사능 감지 시스템 개발과학동아 l1986년 09호
- 설치된 기압, 풍속, 풍향감응장치를 통해 얻은 자료를 모뎀을 통하여 매 5초 간격으로 원전 주조정실에 설치된 자료용 컴퓨터에 자동적으로 전송된다. 컴퓨터는 이를 수정된 수치로 교환시켜 일정치 이상의 대기오염(방사능 누출등)이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경고를 발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한다 ... ...
- 한국의 원자력 발전은 안전한가과학동아 l1986년 09호
- 핵폐기물 처리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독자적인 기술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원전에 관한 제반 정보를 공개하여 합리적 비판에 바탕을 둔 국민적 합의를 모색하는 것도 시급히 요청된다고 하겠다 ... ...
- 인공지능은 전산학의 전부과학동아 l1986년 08호
- 프로그램을 계획중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읍니다.에너지연구소에서도 체르노빌 원전폭발 사건 이후 크라이시스 매니지먼트(Crisis Management)라는 전문가시스템 개발을 위해 기초조사를 끝냈다는 이야기를 들었읍니다. 그밖에도 과학원 경영과학과 이재규박사 팀의 택스어드바이스(Tax Advice)시스템, ... ...
-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잠과 꿈의 세계-그 현대적 풀이과학동아 l1986년 07호
- 아직도 시원히 해명하지 못하고 있는 잠과 꿈의 현대적 풀이다. 원전은 C.EVANS의 'Landscape of the night,와 E.Hartmann의 'The Functions of Sleep'로서 최광복씨가 편역했다.외계인이 지구 상공으로 날아와서 지구의 생물들이 사는 꼴을 자세히 관찰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한눈에 "이 곳은 살 곳이 못되 ...
- 잦은 사고와 대중의 반대로 기로에 선 세계의 원전과학동아 l1986년 06호
- 생물공학 의료설비 등 새로운 사업참여를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작년에 29기의 원전이 새로 운전을 시작하는 등 모처럼의 호황을 보였던 원자력 산업계가 체르노빌 사고 이후 어떻게 변화될까 주목된다 ... ...
- 원전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쟁과학동아 l1986년 06호
- 민감하며 양심적인 사람들도 침묵을 지키기 일쑤다. 또 한 분야의 전문가가 복잡한 원전문제를 전체적으로 옳게 볼지는 의문이다. 대중은 일방적인 정보만 얻을 수 있다 ... ...
- 한국의 원전은 안전한가 「통합적이고 완전한 안전대책」모자라다는 지적과학동아 l1986년 06호
-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하더라도 안전대책 수립에 감안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원전사고의 특징은 그 빈도가 아니라 피해의 광범함에 있기 때문이다 ... ...
- 첩보위성로케트 「타이탄34D」까지폭발과학동아 l1986년 06호
- 일어나고 있다. 지난 4월 18일에는 캘리포니아 '반덴버그'공군기지에서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사고 현장을 찍은 KH11의 개량형인 빅버드(Big Bird)사진 첩보위성을 쏘아올리려던 타이탄(Titan)34D 로케트가 폭발, 우주관계자는 물론 미국인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이밖에도 5천 7백 50만달라짜리 ... ...
- 체르노빌 사고와 핵공포과학동아 l1986년 06호
- '체르노빌'사고는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현대과학의 판단이, 그리고 관리능력이 얼마나 위험스럽게 불충분한지를 비극으로 실증했다. 본 연구는 외국의 논문, 보고서와 신문잡지, 그리고 이름을 밝히기를 꺼려한(체르노빌사고기사 제외)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해 정리한 것이다. ...
이전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