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에 세상을 투영하는 방법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방향으로 바라본 정투영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상자는 축측투영법을 사용하고 있어요. 오른쪽의 파란 테이블은 사선에서 바라본 시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복합 구성은 각 사물의 개별 속성을 잘 보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화면을 더욱 생동감 있고 독특하게 만들어 주는데요, 동양화에서도 ...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자웅모자이크과학동아 l2020년 11호
- SNS)를 통해 공개한 톱사슴벌레는 마치 반으로 가른 듯 왼쪽은 긴 턱을 가진 수컷, 오른쪽은 턱이 짧은 암컷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컴퓨터 합성 사진이라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지만 사실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발생할 확률이 수만분의 1에서 수십만분의 1로 극히 낮은 ... ...
- [한페이지 뉴스] ‘시간 왜곡’ 뇌에서 증거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촬영해 알아봤다. 그 결과 모든 피험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오른쪽 하두정소엽의 모서리위이랑(SMG·supramarginal gyrus) 활성도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활성도가 많이 감소한 피험자일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시간과 실제 시간 사이의 차이가 컸다. 뇌의 모서리위이랑의 ... ...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 게임 개발을 더 쉽게! 게임 루프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적용하면 컴퓨터마다 다를 수 있는 게임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같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자는 델타 타임 개념을 적용한 게임 루프를 도식화한 것입니다. 아래 코드는 델타 타임 개념을 적용한 게임 루프를 통해 1초에 200픽셀만큼 사각형을 이동시키는 스크래치 예시 코드입니다 ... ...
- IT 기술 총집합 방구석 패션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시간, 원하는 공간에서 패션쇼를 감상할 수 있다. 원리는 간단하다. 모델의 앞, 뒤, 왼쪽, 오른쪽 모습을 찍은 뒤 각 영상을 스마트폰 화면의 상하좌우에서 동시에 나오도록 합쳐 재생한다. 면이 4개인 피라미드 모양의 구조물을 화면 위에 올려놓으면 구조물 중심 부분에 3차원 홀로그램이 보인다. ...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가장 앞의 경계 부분과 밝은 부분의 자취를 표시하는 겁니다. 위쪾 사진 ➊은 화면의 오른쪽에 있는 태양에서 태양 폭풍이 발생해 왼쪽으로 뻗어 나가는 모습을 촬영한 겁니다. 천문학자들은 시간 순서대로 폭풍이 진행하는 사진 3장을 제공합니다. 시민천문학자는 가장 안쪽에서 밝게 빛나는 경계 ... ...
- [퍼즐라이프] 정이십면체를 만들어라! 키슬 퍼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만들어졌는데, 어디에서 직각을 찾을 수 있을까요? 비밀은 서로 마주 보는 모서리입니다.오른쪽 그림➊처럼 정이십면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의 꼭짓점들을 이어 사각형을 만들어보세요. 이 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정이십면체의 내부를 지나는 가장 긴 대각선이기 때문에 서로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노래 관련 뇌 영역이 부풀어 있는 것처럼) 노래 관련 영역은 수컷의 특성을 띠는 오른쪽 뇌에서만 부풀어 있었다. 이는 금화조의 뇌가 호르몬이 아닌 유전적 원인 때문에 비대칭으로 발달했음을 뜻한다. 또 다른 쥐 실험에서도 성별 간 뇌의 차이가 유전자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학습은 뇌를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피보나치 수열을 따라 치기만 해도 멋진 곡이 탄생한다는 것을 보였다. 방법은 간단하다. 오른쪽과 같이 피아노 건반에 차례대로 0부터 9까지 번호를 매긴 뒤 피보나치 수열을 따라 순서대로 건반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한 자릿수를 넘어가는 피보나치 수는 각 자릿수의 숫자를 그대로 친다. 예를 ...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양다리, 몸통 이렇게 5개의 원통으로 나눠서 살펴요. 만약 왼쪽 팔의 저항을 알고 싶다면 오른쪽 그림처럼 왼손 전극에서 왼발 전극으로 전류를 흘려보낸 다음 왼손 전극과 오른손 전극 사이의 전압을 측정해요. 그러면 전압 측정 범위 내에서 전류가 흐른 부위(점선)인 왼팔의 저항만 측정되는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