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단축
shrinkage
감소
절감
제한
경련
d라이브러리
"
수축
"(으)로 총 963건 검색되었습니다.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혀끝을 위로 둥글게 말아올리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아래쪽에 위치한 혀아래세로근과
수축
·이완의 호흡이 잘 맞아야 빠르고 정확한 ‘혀 굴러가는 소리’를 낼 수 있다.사투리와 발음 습관이 혀 운동능력 바꿔어떤 사람은 잘되고 어떤 사람은 되지 않는 어려운 발음들. 이론상 혀를 움직이는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중에서 물은 수은 다음으로 표면장력이 크다. 표면장력은 액체가 표면적을 줄이려고
수축
하는 힘을 말하는데, 표면장력이 큰 액체일수록 평면에 떨어뜨렸을 때 둥글게 맺힌다. 그래서 마틴은 물의 표면장력을 충분히 살리기 위해 주로 차가운 증류수(불순물이 거의 없이 순수한 물)를 사용한다. ... ...
고분자로 범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수분이 많이 들어갈 수 있다. 수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증발하기 때문에 모형은 조금씩
수축
한다. 그러므로 과동이는 모형을 뜬 후 바로 사진을 찍고 발자국의 크기를 자로 측정해 범인의 발크기를 예측했다. 숨어있는 지문 채취하기 과동이는 범인이 버린 음료수 캔을 조심스럽게 실험실로 갖고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미국과 함께 세계 최대의 전자담배 생산국이다.지난달 미국에서는 전자담배가 기도를
수축
시키고 염증을 일으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담배통제센터가 건강에 문제가 없는 3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다.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전자담배는 타르, 일산화탄소 등 수천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라고 하는데, 별이 백색왜성 크기로 작아지면 축퇴 상태의 전자가 만들어내는 압력으로
수축
하려는 중력을 버틴다.만약 별이 더 무거우면 중력이 훨씬 강하므로 핵이 더 단단히 뭉친다. 그러면 전자의 축퇴압으로도 중력을 버티지 못해 양의 전기를 띤 원자핵과 음의 전기를 띤 전자가 붙어 중성자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근육 스프링에 에너지를 줘도 스프링은 펴지지 않는다. 하지만 방아쇠 근육 스프링을
수축
시키면 펴는 근육 스프링의 위치가 바뀌며 모멘트의 방향도 따라 변한다. 이때 벼룩 로봇은 다리를 쭉 펴고 뛰어 오른다.이 로봇은 장애물이 많은 험한 지형을 정찰하는 데 적합하다. 기어가거나 바퀴로 ... ...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만약 가성근시인지 모르고 곧바로 안경을 쓴다면? 가까운 곳을 볼 때마다 수정체가 더욱
수축
하게 돼 진짜 근시처럼 시력이 나빠져요. 따라서 안경을 맞추기 전에 꼭 안과에서 가성근시 검사부터 해 봐야 한답니다.최철명 (누네아이센터 원장)안경에 코팅을 한다?안경 렌즈에 왜 녹색 빛이 반사될까? ... ...
Part 2. 털 벗은 인간, 다시 털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나와 양털은 나선으로 돌돌말린 모양이 된다. 사람들은 이 양털을 그대로 흉내냈다.
수축
도가 다른 두 나일론 섬유를 꼬아 실을 만들었다. 한쪽이 더 많이 팽창하기 때문에 구불구불한 모양이 만들어졌다.그 외에도 미용실에서 열파마를 할 때처럼 실을 짠 후 열로 모양을 잡아 고정하는 방법도 ... ...
코끼리 코 흉내 내는 ‘탄소나노튜브 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일부가 풀리면서 길이가
수축
하고, 전기가 통하지 않으면 원래 길이로 돌아온다”며“
수축
과 이완을 반복해 비틀리거나 회전한다”고 설명했다. 구조적인 변화 없이도 움직임이나 모양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연구팀은 “기존 인공근육보다 움직이기가 수월해 로봇이나 생체기기의 재료로 ... ...
물리 - 특수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특수상대성 이론이 발표된 지 100년이 지났지만, 시간 지연과 공간
수축
개념은 여전히 신기하다. 이 이론은 우리의 상식과 통념에 도전하며 이론이 보여주는 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우리에게 요구한다. 이번 호에서는 특수상대성 이론을 살펴보자.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