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업"(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 이름이 괜히 쥐D겠어요. 이 오디션은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Korea Mouse Phenotyping Center)이 개최하는데요. ‘힙’하게 줄여서 KMPC라고 합시다. KMPC는 2013년부터 이 오디션을 개최하고 있어요. 오디션을 통과하기만 하면 스타가 되는 건 시간문제라고들 해요. 그런데 오디션 ... ...
- [지사탐 열혈가족 인터뷰]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조사했어요. 또, 전북농업기술원의 농업연구사, 익산농업기술센터 왕우렁이 지원사업 담당자, 왕우렁이 농법으로 농사를 짓는 영농조합법인 이장님 등을 인터뷰했어요. 또, 토종 논 우렁이와 비교관찰도 했지요. Q 토종 논우렁이를 관찰한 이유가 있었나요? 외래종 왕우렁이를 농사에 이용한 ...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올해도 어김없이 지구사랑탐사대의 한 해를 정리하는 수료식이 열렸어요. 우리만의 축제였던 예년과 달리, 이번 수료식은 조금 특별하게 진행됐지요. 지구사랑탐사대를 비롯해 연구자와 시민들이 모두 함께 모여 시민과학축제를 벌였답니다. 시민과학자들의 축제를 함께 즐겨 볼까요? 지사탐 ... ...
- 해먹 달기 대작전! 사육곰에게 놀이를 선물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환경에서 살아야 하는 거예요.“베트남도 한때 사육곰 수가 4000마리에 이를 정도로 웅담 사업이 번성했어요. 현재는 국립공원 자투리땅에 사육곰을 옮겨오고 있지요. 이처럼 열악한 환경에 사는 동물들을 죽을 때까지 보호하는 시설을 ‘생츄어리’라고 불러요. 농장주 입장에서 더 이상 수익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내 마음대로 둥둥 뜨는 잠수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타고 어디까지 내려가 봤을까요? 바다를 가장 깊이 탐험한 사람은 미국 해군 장교 출신의 사업가, 빅터 베스코보예요. 그는 지난 5월, 2인승 잠수정 ‘리미팅 팩터’를 타고 해저 1만 927m까지 내려가는 데 성공했답니다.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를 거꾸로 꽂아놓은 것보다도 2000m를 더 내려간 거죠 ... ...
- 독도는 우리땅! 알아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87K,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10월 25일 ‘독도의 날’을 맞아 특별히 독도의 푸른 바닷속을 탐험할 기회를 준비했어. 독도는 ... 책임연구원), 임성오(해양환경공단 해양생태팀 차장) 참고자료(2018 ... ...
- 독도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독도에 사는 바다 생물을 지키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2015년부터 해양생물 다양성 회복사업을 시작했어요. 잠수사가 직접 물속에 들어가 망치로 성게를 부수거나, 돌돔을 풀어 과도하게 번성한 성게의 수를 조절하는 거예요. 돌돔은 이빨이 단단해서 뾰족하고 견고한 성게도 잡아먹을 수 있거든요. ... ...
- ㅇㅅㅇㅇ···우리 생물에게 우리말 이름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한국어 이름 없는 자생생물이 무려 1만 3138종우리나라에 살고 있지만 한국어 이름이 없는 생물도 무척 많아요. 자생생물 4만 9027종 가운데 27%에 해당하는 1만 ... “앞으로도 국민들이 바다 생물을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글 이름을 지어주는 사업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 ...
- [출동!기자단] LG CLOi와 랄라큐브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헤이, 클로이?” 인사를 건네자 클로이는 ‘또롱~’ 소리를 내며 눈을 깜박이곤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했어요. 지난 7월 12일, 5명의 기 ... 말했답니다. 도움이지현, 유영경(아들과딸북클럽 기획제작부), 김남건(LG전자 로봇사업센터 선임연구원), 박지연(소리보따리 경영기획 본부장 ... ...
- 붉은 수돗물,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이날은 두 곳 모두 전기 점검으로 5시간 동안 사용할 수 없게 됐어요. 그래서 인천상수도사업본부는 다른 곳에서 물을 끌어오는 ‘수계 전환’을 했지요. 물론 단순히 물길을 바꿨다고 붉은 수돗물이 나온 건 아니에요. 인천시는 2011년부터 지금까지 총 55번 수계 전환을 했어요. 하지만 이번처럼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