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범위"(으)로 총 2,7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찾을 수 있다. 해빙 캠프를 물색할 땐 해빙을 더욱 자세히 관측하기 위해 해상도 3m, 촬영범위 30km 모드로 바꾼다. 해빙 캠프는 아라온호가 북쪽 해빙 밀집 지역에 닿을 때까지는 무조건 찾아야 한다. 예상 기한은 나와 있지만, 항해 상황에 따라 1~2주 당겨지거나 늦춰지기도 한다. 남쪽의 해양 조사 ... ...
- [People] “나는 극지 과학자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기술원(자원공학 전공)특정 지역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무인기와 넓은 지역을 광범위하게 관측할 수 있는 인공위성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면 극지를 효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습니다. 대학원 시절 무인기로 지형을 측량하는 공부를 한 경험을 살려 극지의 독특한 지형을 연구해나갈 ...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그다지 의미가 없습니다. 실제로 초월적인 인공지능이 등장한다면, 이렇게 우리의 이해 범위를 뛰어넘는 존재일 수 있습니다. SF에서는 특이점 이후 인간과 사회의 변화에 관한 다양한 사고실험이 가능합니다. SF의 역할이란 바로 이런 것이죠. 미래를 예측해야 하는 미래학자와 달리, 문학을 하는 ... ...
- 군집 위성, 지구의 안팎을 모두 살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나란히’ 대형은 한 지역을 시간대별로 관측하는 데, ‘옆으로 나란히’ 대형은 넓은 범위를 동시에 관측하는 데 유용하죠 .군집 위성의 장점은 다양해요. 한국천문연구원의 황정아 박사님은 “큰 위성 한 대를 날리는 것보다 작은 위성 여러 대를 날리는 것이 효율적”이라며 군집 위성의 장점을 ... ...
- [나의 독일유학일기] 시험 기간이 방학 중에? 방학 같지 않은 방학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굉장히 어렵다. 독일의 대학은 시험을 한 학기에 한 번만 치르기 때문에 애초에 시험 범위도 두 배다. 따라서 평소에 충분히 공부해야 한다. 이 사실을 알면서도 막상 실천하지 못 하는 이유가, 학기 중에는 할 일이 매우 많기 때문이다. 시험 보는 것조차 빠듯할 정도다. 대학에서도 이 사실을 ... ...
- 수만 대의 군집 위성에 천문학자들이 화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천문대장은 “지구 저궤도에 수만 대의 위성이 날아 다닌다면, 지상에서 한 번에 넓은 범위를 관측하 는 거대 망원경이 위성을 피해 밤하늘을 촬영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라며, “누구나 마음껏 위성을 뿌릴 수 있는 우주 공간이지만, 과학을 위해선 군집 위성이 특정한 궤도를 지나지 ...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김두진 연구원은 “범용백신을 만들면 예방할 수 있는 변종의 범위가 늘어난다”며, “코로나바이러스도 세포 감염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잘 변하지 않는 부분을 찾으면 이론적으로 범용백신 개발이 가능하다”고 말했답니다. 내성 안 만드는 ‘슈퍼항생제’도 있다 ...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따라 확인해보죠!먼저 위에서 내려다 본 사람의 머리와 어깨 넓이를 a, 이 사람이 움직인 범위의 넓이를 A라고 해요. 그러면 A 구간을 날고 있는 비둘기 1마리가 똥으로 사람을 맞힐 확률은 a/A로 구할 수 있어요. 그런데 만약 A 구간에 비둘기가 2마리 있다면 똥을 맞을 확률은 둘 중에 최소 1마리만 맞힐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서비스와 보안 기술까지! 이제 어느 분야에서나 AI를 사용한다. 점점 더 AI의 활용 범위가 넓어져 사람이 하는 일의 대부분을 AI가 하게 된다면, 지금보다 더 나은 사회가 될까?시네마틱 드라마 SF8은 물음표로 남아있는 미래의 모습을 영화감독의 시선에서 풀어낸 드라마다. 사람보다 더 사람처럼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거 아닌가요? 시거 물론 1이라는 숫자는 크지 않아요. 하지만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했기 때문에 아직 관측하지 못한 우주 전체를 생각하면 이 숫자는 더욱 커질 수 있어요. 우리은하에는 대략 1000억 개의 별이 있고, 우주엔 1700억 개 이상의 은하가 있으니까요. 때문에 외계생명체도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