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치"(으)로 총 1,3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gun)’을 예로 들 수 있다. 최근 미국 등 강대국들은 레일건을 차세대 무기로 개발해 실전 배치를 눈앞에 두고 있다. 레일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두 도선이 있을 때, 서로 밀어내는 힘을 이용한다. 이것으로 공기 속에서도 마하 10 정도의 초고속으로 물체를 가속해 수백 km 떨어진 ...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작은 잠수함도 방이 100개 이상 들어간다”며 “설계자의 노하우에만 의존해 방을 배치할 경우 시간도 오래 걸리고 최선의 설계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 노 교수는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잠수함의 경우 무기고의 위치,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표본을 지구로 가져오는 임무에 주력한다. 러시아는 2030년까지 우주비행사를 달에 배치할 예정이다. 다른 나라가 달을 화성으로 가는 전초기지로 개발하는 것과 달리, 달 자체에 집중하는 전략을 택했다. 지나친 경쟁을 피하고 다른 나라와 협업을 하기 위해서다. 블라디미르 돌고폴로프 러시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퍼즐, 수학이 되다!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조가 위쪽 그림처럼 7개의 소모임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각 조의 개개인을 그림의 점에 배치해 같은 선분이나 원 위에 있는 세 사람을 같은 소모임이라고 가정한 겁니다. 연구팀은 전체 n명 중 어떤 3명을 보더라도 정확히 한 조에 그 3명이 소모임을 이루고 있도록 조와 소모임을 짤 수 있는지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근체시’를 보면 전체 4개의 행 중 짝수 번째 행의 끝에 비슷한 발음의 글자를 배치해 리듬을 만든 것을 볼 수 있다. 랩 가사를 쓸 때 반드시 라임을 맞춰야 하는 건 아니지만, 근체시는 반드시 이 형식을 지켜야 해서 랩보다 더 엄격하게 리듬을 만들고 있다.이런 공통점 때문에 어떤 사람은 랩을 ... ...
- Part 4. 거대 도시에서 행복하게 사는 법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건물이 숲을 이루면 거대한 산처럼 공기의 흐름을 막아버립니다. 또 건물을 잘못 배치하면 돌풍이 부는 곳이 생기기도 합니다. 빌딩의 벽을 타고 가던 공기는 벽이 끝나는 순간 안쪽으로 휘면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움직이는데, 이때 다른 바람과 합쳐지면 거센 돌풍이 돼요.이런 공기의 정체와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일렬로 배열하면 엔진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므로 3개에서 6개씩 묶어 V자나 W자로 병렬 배치한다.실린더의 부피가 같다면, 즉 배기량이 같다면 실린더의 지름과 높이의 비에 따라 엔진의 회전 수가 달라진다. 실린더의 지름을 ‘보어’, 높이를 ‘스트로크’라고 하는데, 스트로크가 짧으면 피 스톤이 ... ...
- 풋볼 팬타지움 수학여행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앞다퉈 대답했다. 월드컵 예선 경기는 몇 번 열리는지, 골키퍼를 제외한 10명의 선수를 배치하는 경우의 수는 얼마인지 등의 질문이 쏟아졌다.즉석에서 경우의 수를 계산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에도 학생들은 재빨리 답을 구해냈다. 체험물을 즐길 때만 해도 “축구는 재밌는데 수학은 어렵다”고 ... ...
- Part 3. [디자인] 키는 쑥쑥~, 몸무게는 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따라서 팔까지 모두 갖춘 거대로봇을 만들기 위해선 질량을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발전기, 모터 같은 무거운 부품이나 조종석은 가슴이나 복부에 두는 게 좋지요. 가슴이나 복부는 다른 부위에 비해 움직임이 적고, 로봇의 무게 중심(COM)에서 가깝기 때문에 로봇이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82년 위와 같은 ‘36 장교 문제’를 떠올렸어요. 고심끝에 이런 배치는 불가능하다고 추측했지요. n이 5일 때, 즉 군부대 5곳에서 계급이 다른 장교 5명씩을 뽑아 부대와 계급이 겹치지 않게 5줄씩 줄을 세우는 건 쉬워요. 하지만 6일 때는 좀처럼 답을 찾기가 어려웠어요. 이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