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디어"(으)로 총 1,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회색 도시를 빛으로 물들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유래까지 고려해 디자인을 완성했다. 동아미디어센터 16개 층에 총 8가지 색을 입혀 동아미디어그룹의 다양성을 강조하고 새로운 조형미를 부여했다. 두 개의 고원(Les Deux Plateaux )뷔렌을 대표하는 시각적 도구는 줄무늬다. 특별한 의미를 담지 않은 줄무늬를 전략적으로 배치해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 ...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사라진 영웅들 부활할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누군가는 과거를 잊고 살지. 하지만 우리는 아냐”우주 생명체의 절반이 없어졌다. 영웅들도 절반이 넘게 사라졌다. 이제 남은 영웅들만으로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를 가진 악당 타노스를 무찔러야 한다. 과거를 다 잊고 포기하면 편하겠지만, 캡틴 아메리카의 말처럼 ‘영웅’은 그럴 수 없 ... ...
- [쇼킹 사이언스] 외계인의 흔적일까?! 깊은 숲 속 미스터리 서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린 것처럼 나무가 일정하게 오밀조밀 모여 있었답니다. 이 미스터리한 숲은 곧장 소셜미디어에서 화제가 되었어요. ‘외계인의 착륙 흔적’ 또는 ‘미스터리 서클’이란 수식어도 붙었지요. 그런데 사실 이 미스터리 서클은 외계인이 아니라 일본 규슈산림관리국이 만든 것이었어요. 나무와 나무 ... ...
-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해를 좀 더 자유롭게 내보이는 문화가 생긴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홍 소장은 “미디어 자체가 자해를 유발하는 근본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자해 외에 감정을 해소할 길이 없는 아이들 혹시 자해에 좀 더 취약하게 만드는 유전적, 생리학적 특성이 있는 것은 아닐까.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매우 까다롭다”고 말했다. 그런데 최근 에드워드 보이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 교수팀이 신개념 다운사이징 기법을 적용한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 기술로 나노미터 수준의 복잡한 구조물을 프린팅하는 데 성공했다. 이 구조물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앨리스 모습을 하고 ... ...
- [수학뉴스] SNS 계정 삭제해도 사생활 샌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있는지 보고한 첫 사례입니다. 제임스 배그로우 버몬트대 수학및통계학과 교수는 “소셜미디어를 할 때 많은 사람이 자신의 정보만 드러난다고 생각한다”며, “자신뿐만 아니라 친구의 정보도 공개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 행동’ 1월 21일자에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언론 보도는 서로를 참조하는 관계”라며 “노벨상 수상 이전에 스트리클런드 교수가 미디어에 많이 노출됐다면 등재가 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주목한 ‘다양성 챔피언’ Jess Wade(제스 웨이드) 하루에 한 명씩, 과학계의 숨은 영웅을 매일 발굴하는 사람이 ... ...
- 나도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 디자이너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과정을 모두 체험해보니 신기했다”고 말했습니다. 강연을 맡은 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는 “과거에는 게임을 좋지 않은 시선으로 봤지만, 지금은 다르다”며, “참가자들이 만든 게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게임을 잘 활용하면 학생들의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고 게임의 교육적인 ... ...
- [과학뉴스]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마에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연구소 유체인터페이스연구실 교수와 하프릿 사린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을 개발해 2018년 12월 7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해바라기처럼 식물은 빛에 반응한다. 빛의 변화가 감지되면 식물은 잎과 ... ...
- Part 3. 유럽 2024년 문 빌리지 건설 ‘문레이스’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전력원이 되는 태양광을 이용해 돌아다닐 수 있는 기간도 14일 정도다. 이우섭 KIST 로봇미디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로버 몸집을 20kg 미만으로 최소로 줄였고, 모든 전자부품을 본체 안에 넣었다”며 “2019년 바퀴가 네 개 달린 로버 개발 모델(DM)의 콘셉트 디자인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