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영겁
영원무궁
무궁
무량
무한량
무량무변
d라이브러리
"
무한
"(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원소가
무한
히 많은 집합에는 크기가 유한한 집합에 없는 독특한 성질이 있다. 예를 들어, 실수 전체 집합의 크기와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 집합의 크기가 ... 묵을 수 있을까?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Part 5.
무한
에 울고 웃는 사람들Part 6.
무한
은 칸토어가 만든 ... ...
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무한
호텔의 지배인, 다비드 힐베르트는 모든 방이 꽉 찬 호텔에서 아무도 내쫓지 않고 손님 한 명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모든 손님이 각자 자 ... 묵을 수 있을까?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Part 5.
무한
에 울고 웃는 사람들Part 6.
무한
은 칸토어가 만든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실수의 한 구간, 예컨대 0 이상 1 미만인 실수는
무한
히 많다. 문제는 실수를 셀 수 있느냐인데, 아무도 실수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지 못했다. 자연수의 집합은 ‘1 ... 수 있을까?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Part 5.
무한
에 울고 웃는 사람들Part 6.
무한
은 칸토어가 만든 ... ...
Part 5.
무한
에 울고 웃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무한
호텔Part 1. 웰컴 투
무한
의 세계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Part 5.
무한
에 울고 웃는 사람들Part 6.
무한
은 칸토어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거지. 반대라면 대기자는 계속 쌓이기만 할 테니 줄도
무한
히 길어져서 평균 대기 시간은
무한
대가 돼. 물론 전체 시간에서 아래 식을 만족해도 일시적으로 혼잡도가 1보다 커질 때가 있어. 사람이 몰리는 시간대지. 이때 길어진 줄은 사람이 뜸해지면 다시 짧아질 거야. 교수팀은 변기 수가 대기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미식 박사: 수학을 소재로 한 영화도 제법 인기가 있었죠. 최근에는 ‘히든 피겨스’, ‘
무한
대를 본 남자’, ‘이미테이션 게임’처럼 수학자의 생애를 그린 영화를 많이 만들지만 예전에는 ‘π’나 ‘컨택트’ 같이 수학적인 내용을 담은 영화도 있었어요. 과학 박사: 컨택트는 소수를 이용해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우주는
무한
하고 편평하다또 하나의 가정은 우주 공간이 편평하다★는 것이다.
무한
하다는 가정은 확인할 수 없지만, 이는 관측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바로 ‘우주배경복사’ 덕이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탄생하고 38만 년 뒤에 최초로 빛이 퍼져나가면서 남긴 흔적이다. 편평하다★ 넓고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쌍곡곡면에서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쌍곡곡면에서 측지선은 곡선으로 그려지며, 길이는
무한
대이고 평면과 다르게 여러 개다. 닫힌 측지선이란 부드럽게 변형하면 그 길이가 더 이상 짧아질 수 없는 닫힌 곡선이다. 또 ‘모듈라이 공간’을 새로운 방법으로 해석했다. 모듈라이 공간이란 수식으로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광속을 능가하는 속도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광속한계는 빛의 속도로 가속하려면
무한
의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인데 알큐비어 드라이브는 공간을 줄이고 늘리기 때문에 가속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다. 바루나 호는 가만히 정지해 있고 우주가 뒤로 흘러가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인류가 ... ...
[수학뉴스] 수학의 변신은 무죄! 예술이 된 난제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예술작품으로 승화시켰어요.1만 개만 해도 이렇게 복잡한데 수학자가 증명해야 할 수는
무한
대니 정말 어렵겠죠? 하루빨리 80년 난제가 풀렸으면 좋겠습니다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