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름
호칭
성명
고유명
표제
직함
명성
d라이브러리
"
명칭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날씨에 영향 미치는 폭풍우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조금만 가해져도 수레가 관성의 법칙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데서 이
명칭
이 생겼다 입자(粒子)의 관성력과 유체의 점성저항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無次元數)로서 입자의 운동방정식을 무차원화 했을 때의 계수 관성 파라미터 P 또는 ψ는 스토크스의 식(式)이 성립되는 ... ...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혈장단백질(血漿蛋白質)의 한 성분 즉, 혈액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의 한 그룹에 붙여진
명칭
정상인은 감마 글로불린이 혈장단백질의 11~17%를 차지하지만 단백질로서는 균일하지 않고 비슷하게 생긴 무수히 많은 단백질의 혼합물이다그 중에서 약 80%는 분자량 약 16만의 분자종(分子種, 1gG), 약 20%는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인 고밀도 천체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부르는데서 착안한
명칭
이다핵연료이자 핵무기에 쓰이는 방사성 원소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한 폐핵연료봉을 잘라 질산에 녹인 다음, 플루토늄 흡착 기능을 가진 특수 유기용매인 인산트리프틸(TBP)에 넣어 플루토늄을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가로질러 동해로 흘러드는 강이 있다. 이 강이 ‘솔빈강’이다. 지금은 러시아식
명칭
인 ‘라즈돌리나야강’으로 불리고 있다.지난해 7월 취재팀은 솔빈강을 따라 북서쪽으로 중국 국경을 향했다. 한국과 러시아가 공동으로 발굴하는 발해 유적지인 ‘체르냐치노 산성’에 가는 길이었다.4 년째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응용분야가 포함돼 있다 대체에너지개발을 목표로하는 선샤인(sunshine) 계획과 대조적인
명칭
으로 불려져 눈에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최첨단 기술을 포함하고 있는 중요한 프로젝트다 프로젝트별 예산은 연간 수천만 엔에서 1억수천만엔 규모과망간산 칼륨(KMnO₄)이나 중크롬산칼륨(K₂Cr₂${O}_{7}$)과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하고 주파수 10배마다 구분하여, 그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특정주파수대로 하여 각각에
명칭
을 붙이고 있다 또 전파의 속도는 공기속에서 1초 동안에 30만km이기 때문에, 구분을 3의 배수로 하고 주파수와 파장의 곱이 전파의 속도라는 점에서 파장도 10배마다 구분할 수 있다 가령, 현재 TV주파수로 ... ...
발해의 닻을 올려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이름은 ‘후루겔므’. 바로 러시아령인 두만강변의 최남단 섬이다. ‘후루겔므’라는
명칭
은 19세기 후반 유럽인으로는 처음으로 섬에 정박했다는 러시아 함대장의 이름을 딴 것이라고 한다.필자와 후루겔므 섬의 인연은 199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금은 인적이 사라져 5월이면 흐드러지게 핀 ... ...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잘 녹지 않으며 뜨거운 물에는 녹아서 풀 모양이 된다 8종의 이성질체(異性質體)가 있고
명칭
은 그리스어인 amylon (녹말)에서 유래하며 알코올 발효 때에 생기는 부산물인 퓨젤유(油)에 주성분으로서 함유되어 있다 주로 액체 · 점성체(粘性體)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광학기계 E 아베에 의해 고안된 ... ...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한국대지라는 지명은 오랫동안 사용돼 왔으며 지난해 11월 국립해양조사원이 해저지형
명칭
으로 공식화한 것이다. 이 중 울릉분지는 최근 해저지명 등재로 일본과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물론 해저 지형 및 지질 연구 성과가 해저지명이나 영토에 대한 문제에 일차적인 해답을 제공하는 것은 ... ...
직소퍼즐을 입체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곡선으로 자르기 위해서 직소(jigsaw)라는 실톱을 사용했는데 톱의 이름에서 직소퍼즐의
명칭
이 유래했다. 1930년대 대공황을 거치면서 직소퍼즐은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즐기는 놀이로 정착했다. 일자리를 잃고 대규모 파티를 즐길 여유가 없어진 어른들이 집에서 놀거리를 찾았기 때문이다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