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
닮지 않음
틀림
부동
상이
d라이브러리
"
다름
"(으)로 총 406건 검색되었습니다.
X파일에 숨겨진 음모이론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에이즈 바이러스와 관련된 음모이론을 각색한 것이다.에이즈 음모이론은 이 바이러스가
다름
아닌 미군의 생물학전 실험 결과로(우연한 사고이건 의도된 것이건 간에) 생겨났다고 본다. 최초의 에이즈 감염사례는 1981년에 보고됐지만 증상으로 보아 에이즈였다고 추정되는 환자는 1979년 또는 197 ... ...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특히 투과성이 좋은 적외선을 본다면... 이 상상은 어느정도 실현에 옮겨졌다. 그것은
다름
아닌 '적외선 투시 카메라'. 적외선 투시카메라는 특수 적외선 필터를 렌즈에 장착해 옷속의 몸을 훤히 볼 수 있게 만든 장비다.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이 피사체에 깊숙이 침투하는 것을 응용한 ... ...
Ⅳ 인류와 함께한 팔방미인 탄소재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재료로 이용된다.침상코크스(피치류로 만든 것으로 용광로에서 사용하는 코크스와는
다름
)를 2천5백도 이상에서 처리하면 얻어지는 탄소재료를 인조흑연이라고 한다. 인조흑연전극봉은 전기로 고철을 녹이는 제강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켜줘 고철과 ... ...
Ⅰ 네개의 팔로 온갖 조화 부린다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탄소가 근래 들어서는 또다른 모습으로 현대의 과학자들을 흥분시키고 있다. 그들은
다름
아닌 풀러렌과 탄소나노튜브. 이들은 나노테크놀러지의 선두 주자로 초전도체나 집적도가 어마어마한 반도체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헤아릴 수 없는 탄소화합물외각전자가 4개라는 사실은 탄소가 다른 어떤 ... ...
② 소호위성이 밝혀낸 태양의 새모습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통한 관측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된 것이다. 코로나를 가열시키고 있는 존재는
다름
아닌 자기장이었다. 그것도 플레어를 발생시키는 대규모의 강한 자기장이 아닌, 태양의 표면에 항상 존재하고 있는 아주 조그만 규모의 자기장 들이었다. 이를 태양물리학자들은 '자기장 카펫'(Magnetic Carpet)이라 ... ...
멈추지 않는 세상, 체험하며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백문이 불여일견'이란 말이 있다. 하지만 백번 보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이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직접 한 번 만져보며 해보는 것. 과학관은 이런 것이다. 널려 있는 많은 과학적 현상들을 한 번의 경험을 통해 지식으로 의미있게 꿰어낼 수 있는 그런 곳이다. 또 미래의 꿈을 잉태하고 키워 나갈 수 ... ...
방사성 폐기물의 실체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남한과 북한이 협력하는 첫 대역사(大役事)가 지난 8월 시작됐기 때문이다. 그 역사는
다름
아닌 ‘북한 경수로 건설’이다.북한 경수로는 함경남도 신포에 2기가 건설된다. 약 50억달러(5조원)가 들어가는 이번 공사의 비용은 한국이 5분의 4를 내고 일본이 나머지 5분의 1을 부담할 것으로 보인다. ... ...
처녀의 젖가슴이 큰 유일한 동물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많이 있다. 그 가운데 자식을 낳지 않아도 수유 기관인 젖가슴이 굉장히 큰 동물이 있다.
다름
아닌 인간이다. 물론 인간처럼 거대한 수유기관을 가진 동물로 젖소를 꼽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젖소의 커다란 젖가슴은 우유를 대량으로 착취하려고 인간이 인위적으로 젖소를 교배시켜 젖샘을 ... ...
1. 동물사회의 지도자 그 카리스마의 비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살아간다. 이런 코끼리의 가족공동체는 하나의 민주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것과 크게
다름
이 없다.그렇지만 코끼리 사회에 ‘어른’의 존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나이와 경험이 많고, 보통은 체격도 매우 큰 수컷 한마리가 이른바 ‘촌장’ 노릇을 한다. 그러면 이 촌장의 임무는 무엇일까 ... ...
세계의 경차-작다고 깔보지 마라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받았다.세계 자동차 역사에 남을 만한 명차인 폴크스바겐의 개발을 지시한 사람은
다름
아닌 히틀러였다. 히틀러는 자동차 설계 권위자인 페르디난드 포르셰 박사에게 이렇게 주문했다.“유지비가 적게 들고 튼튼한 소형차를 만드시오. 부모와 아이 둘 모두 4명이 탈 수 있어야 합니다. 국민 모두 이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