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연에 없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에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평범한 소재이지만,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수준에서 반복되는 구조를 디자인해서 새로운 특성을 얻지요. 연구팀이 만든 메타물질에 빛을 입사각이 45°가 되도록 쏘아주면 빛이 들어온 방향으로 다시 반사돼요. 하지만 반대쪽 45°에서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합성해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은나노와이어와 은나노섬유를 그물 형태로 쌓으면 빛이 지나갈 수 있는 빈 공간이 생겨 겉으로는 투명해 보인다. 빛은 빈 공간으로, 전기는 은을 통해 전달된다. 박 교수팀이 개발한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은 기존에 인듐과 산화주석으로 ... ...
- [화보] 바다, 미시,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eccentrica)’가 마치 공깃돌처럼 놓여 있다. 주사전자현미경은 시료 표면의 미세구조를 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급으로 상세하게 보여줘, 해양생물을 분류하고 연구하는 데 유용하다. 원반모양 세포 윗면에 작은 구멍들이 몇 개인지, 어떤 모양으로 배열돼 있는지 등을 보고 정확한 종을 파악할 수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나타났다. 우연이나 실수가 아니었다. 토성 고리에 있는 얼음 입자의 크기는 수십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에서 수 m에 이른다. 그중 아주 작은 입자들은 태양빛을 받거나 미소유성체가 충돌하면서 만들어 내는 플라스마 구름을 만날 때 전하를 얻게 된다. 전하를 얻은 입자는 자기력선에 ... ...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이론을 활용한다. 반도체로 만든 집적회로(위 사진)의 경우 작은 면적에 회로의 폭이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단위로 좁게 복잡한 모양의 회로를 그려 넣어야 한다. 이때 원하는 요소를 포함한 회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그래프 이론을 쓴다. 이처럼 경로 찾기 문제는 단순히 점과 선 ... ...
- [과학뉴스] 먹기만 해도 살 빠지는 칩 탄생!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 장치의 목적은 음식을 먹을 때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조절하는 것이다. 칩에 심은 나노 발전기는 음식물 섭취로 위가 움직일 때마다 작동해 전기를 생산한다. 이때 발전기가 0.1V 이상의 전압을 생성하면 위에서부터 뇌의 아래 부분인 숨뇌로 이어지는 미주신경 신호를 차단한다. 미주신경 신호가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준으로 저해됐다. 미야기 소장은 “바이러스 속 뉴라미니데이스는 타미플루가 nM(나노몰) 수준의 농도로만 존재해도 활성이 저해된다”며 “용법에 맞게 복용한다면 타미플루가 체내에서 시알리데이스에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타미플루가 도파민 분비에 영향을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표면의 전자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다. 현미경의 뾰족한 탐침에서 흘러나온 전류가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떨어진 금속 표면을 통과하는데, 이때 전류 흐름을 분석해 금속의 특성을 파악한다. STM에는 서 교수의 손길이 안 닿은 곳이 없다. 완제품을 구입한 게 아니라 핵심 부위만 맞춤 제작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나쁜 왕비가 다시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것으로 먹었을 때 더욱 감염 확률이 높아지지요. 노로바이러스는 입자의 크기가 27~32nm(나노미터) 정도인 바이러스예요. 바이러스 혼자서는 유전체를 복제하고 자손을 만들 수 없어요. 이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 안으로 들어가서 유전체를 복제하는 전략을 이용하지요. 그중 노로바이러스는 ...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개 연구기관과 뇌의 신호를 읽어 적절한 전기자극을 보내주는 뇌 센서를 개발했다. NASA의 나노기술과 원격조정기술을 국내 의학과 접목시킨 사례다. 최 고등책임연구위원은 “우주 개발은 2~3년 뒤에 돈을 얼마나 벌 수 있을지 생각하고 시작하면 할 수 없다”며 “적어도 30년을 내다보고 선제적인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