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금성"(으)로 총 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과학동아 l2002년 01호
- 때문이다. 목성은 화성 바로 밖에 있는 다섯번째 행성이다. 목성보다 더 밝은 대상은 금성 정도에 불과하다.2002년 1월에는 목성이 다른 때보다 더 밝다. 이 무렵 지구와의 거리가 다른 때보다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특히 목성은 1월 1일 지구에 가장 가까워진다. 목성-지구-태양 순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 ...
- 1백년만에 대규모 별똥별 퍼붓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어두운 밤하늘을 환하게 밝힐 정도의 별똥별인 화구도 다수 나타났다. 밝기는 금성 밝기인 -4등급 이상이었다. 대부분의 별똥별도 상당히 밝은 편에 속하는 0등급 전후의 밝기를 보였다. 2등급 이하의 어두운 것들은 별로 없었다.또 상당수의 별똥별은 떨어지며 하늘에 남기는 흔적인 유성흔을 ...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과학동아 l2001년 12호
- 금성도 같이 떠 있겠지만, 하늘이 밝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관측할 수 없다. 수성과 금성은 태양이 질 무렵, 잠깐 서쪽 하늘에 보이거나(이 경우 곧 태양을 따라 지평선 밑으로 사라지므로 오랫동안 볼 수 없다), 태양이 뜨기 전 동쪽 하늘에서 미리 뜬 경우에 보인다(이 경우에도 태양이 떠서 하늘이 ...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과학동아 l2001년 11호
- 해뜨기 전 새벽 동쪽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을 찾으면 그것이 바로 금성이다. 그리고 금성 약간 북쪽에서 조금 어두운 별을 하나 찾는다면 그것이 바로 수성이다 ... ...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과학동아 l2001년 09호
- 향하고 있다면 금성의 북극은 ‘태양계 아래’를 향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금성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자전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다시 한번 유의하자. ‘동쪽에서 서쪽으로 자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같이 표현하면 틀리다고 할 수 없지만 말이다.참고로 어느 행성에서나 나침반의 ...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과학동아 l2001년 08호
- 태양계 최대 산인 화성의 올림푸스 산이다. 범수와 하영은 약간 흥분하고 있다. 수성, 금성에서와 달리 화성에서는 직접 땅을 밟아보고 산에 오를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보이저 익스프레스가 화성에 가까워지자 붉은 행성이 더 붉게 다가온다. 화성 상공에 도착하자 적도 부근에 ... ...
- 불가사의한 별 미라가 밝아진다과학동아 l2001년 08호
- 있던 행성이 아니라 근대에 와서 발견된 행성이다. 즉 그만큼 보기 어렵다. 실제로 금성이나 목성은 주의를 한눈에 끌만큼 대단히 밝지만 천왕성은 그렇지 못하다. 다른 별과 큰 차이가 없어 구분하기가 대단히 어렵다.올해는 8월 16일에 천왕성이 1년 중 가장 보기 쉬워진다. 이 무렵 천왕성은 태양의 ... ...
- 행성은 어떻게 돌아다닐까과학동아 l2001년 08호
- 볼 수는 없음에 유의하자.행성이 해와 같은 방향에 있을 때를 합이라고 한다. 수성, 금성과 같은 내행성 경우에는 에서 보는 것처럼 해의 앞에 있을 수도 있고 뒤에 있을 수도 있는데, 앞의 것을 내합, 뒤의 것을 외합이라고 부른다.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과 같은 외행성 ... ...
- 태양이 가장 멀어지는 7월 여름과학동아 l2001년 07호
- 그리 바뀌지 않는다. 단 달의 위치에 많은 변화가 생긴다. 18일 달의 위치는 금성 바로 아래에 위치해 또다른 모습을 선사한다.19일에는 달이 더욱 가늘어진 그믐달 형상으로 변하면서 목성 바로 위에서 빛난다 ... ...
- 사랑과 이별의 하늘강 은하수과학동아 l2001년 07호
- Siderius Nuncius)이란 책이다. 이 책에는 달에 구덩이가 깔려 있고, 산도 있고 평원도 있고, 금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이 반달이나 초승달처럼 변하며, 목성에는 둘레를 도는 달이 네개나 있다는 갈릴레이의 관측 사실이 적혀 있다. 우리 선조가 시체가 쌓여 있는 기운이라 해서 적시기(積尸氣)라고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