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d라이브러리
"
게재
"(으)로 총 65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가장 어두운 행성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우주에서 가장 어두운 행성이 발견됐다. 하버드-스미소니언센터 연구팀이 지구에서 718광년 거리에 있는 용자리의 별 GSC-03549-02811에서 발견한 행성은 지금까지 발견된 어떤 행 ...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왕립천문학회월간보고’ 9월호에
게재
될 예정이다 ... ...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밤새 실험했습니다.”이런 노력을 통해 장내 미생물의 효과에 관한 논문을 ‘네이처’에
게재
하는 성과를 냈다. 과거에 전혀 접하지 못한 새로운 영역에 도전해 최고의 성과를 냈던 것이다. 새로운 영역을 향한 도전은 GIST에 부임한 뒤에도 계속됐다. 미생물 연구에서 무기물질 연구로 영역을 바꾼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GIST의 경쟁력은 졸업생들의 면면에서도 확인된다. 박사 졸업생 1인당 SCI급 국제학술지
게재
논문 수에서 GIST는 평균 8.08편으로 국내 1위를 기록했다(2009년).1~100번까지 전교생 이름을 외는 학교GIST는 지난해 학사과정을 개설했다. KAIST, 포스텍 같은 이공계 중점대학과 본격적으로 경쟁하게 된 셈이다. ... ...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은 과학적 근거가 확실한 걸까. 식약청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
되거나 각국 정부의 정부 보고서, 국제기구의 보고서에 의해 과학적으로 인정 받아야 기능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몇몇 기능식품의 효과는 대단히 제한적이며, 새로운 연구에 따라 기능성이 없다고 ... ...
따로 사는 판다 부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과학학술원 동물학연구소의 둔우 키 연구원은 이 연구 결과를 ‘동물학저널’ 7월호에
게재
했다. 연구팀은 구체적 개체수를 밝히지 않았지만 중국 쓰촨성 량샹 산 일대에서 그 지역 대왕판다의 90.5%를 조사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판다를 직접 관찰하고, 판다가 남긴 털과 배설물의 유전자를 감식해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NASA가 연구성과를 과장했다는 비판도 많았다. 사이언스도 이를 의식해서인지 온라인판
게재
이후 6개월이 지난 6월 3일자에 정식논문을 실었다. 이렇게 시간이 걸린 것은 이례적이다. 특이하게도 비소 박테리아 논문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여덟 편의 짧은 논문도 함께 실렸다. 물론 울프-사이먼 ... ...
세포에서 레이저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포토닉스’ 온라인판에 6월 12일
게재
됐다. 윤 교수는 2005년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로 임용됐는데, KAIST 물리학과를 졸업한 토종박사로 화제가 됐다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펜로즈 이론과는 다른 새로운 우주 탄생 이론을 완성해 ‘피지컬리뷰D’ 온라인판에
게재
했다. 여기에는 ‘끈(string, 그림 참조)’ 이론을 이용했다. 끈이론은 서클(고리)과 같은 닫힌 끈과 끊어진 고리 모양의 열린 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만드는 곡면을 연구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는 우리가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08년 5월 과학학술지 ‘피직스 인 메디슨 앤 바이올로지’에
게재
됐다. tDCS 관련 공학 논문으로는 국내 최초다.tDCS로 정확하게 머리의 어느 부분을 자극해야 하는지도 정해야 한다. 지금 쓰는 TMS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장치(MRI)로 환자의 뇌 영상을 찍어 어디에 ... ...
파마약 도전정신으로 플라스틱 태양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이 연구는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게재
됐는데, 당시 1~2%에 불과했던 효율을 6.5%까지 높였다. 비밀은 이층으로 포갠 태양전지 패널이었다. 햇빛의 일부만 흡수하던 기존의 태양전지와 달리 포개진 각각의 태양전지가 가시광과 적외선 영역에 이르는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