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어
한국어
한국말
d라이브러리
"
조선말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의 로켓 '신기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청국장 13호라…. 재미있는 암호명이었지요? 우리조상들은 청국장을 끓이는 뚝배기처럼 순박해 보였지만 외세의 침입을 든든히 막아 냈어요. 이번 회의 주인공인 ‘신기전’ 역시 뚝배기처럼 단단한 모습으로 나라를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답니다.신기전은 세종 30년인 1448년에 개발된 로켓무기의 ... ...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군다?
과학동아
l
200603
레스토랑에서 “음료수는 뭘로 하시겠습니까?”라는 웨이터의 질문에 “물이나 한 잔 주세요”라고 대답한다. 이때 돈을 내야 한다고 하면? ‘이 레스토랑 되게 짜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세계 여러 나라를 여행하다 보면 음식점 메뉴판에 물 가격이 적힌 것을 자주 볼 수 있다.한국은 물부족 ... ...
로봇을 통해 휴머니즘 그리고파
과학동아
l
200603
태권V의 아버지 김청기 감독(64)을 만나러 가는 길 내내 설렘과 흥분으로 가득 찼다. 30대 중반, 그것도 학부형이 될 나이에 ‘만화영화’ 감독을 만난다는 이유로 이렇게 떨다니 말이나 될 일인가? 하지만 은막 위로 흐르는 ‘김청기’라는 이름 석 자만 보고도 숨 막히던 유년기를 보낸 이라면 사정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03
토리노 동계올림픽 준비위원회는 예측할 수 없는 알프스의 날씨 때문에 10대의 제설 장비를 갖춰 완벽한 스키 활강 코스를 마련했다. 과학진흥을 위해 많은 연구소를 관리·경영하는 독일의 법인기관 정식 명칭은 막스 플랑크 과학진흥협회이다1911년 설립된 카이저 빌헬름협회를 제2차 세계대전 ... ...
야광귀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
2006년 새해가 시작된 지도 보름을 지나 벌써 1월이 다 가고 있어요. 하지만 아쉬워 마세요. 1월의 마지막에는 민족 고유의 설날이 있으니까요. 또 한 번의 새해 첫날을 기다리면서 여러분은 무엇을 기대하고 있나요? 세뱃돈이라구요? 세뱃돈도 좋지만 이번 설에는 5000년 역사 동안 하나의 민족임을 고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02
일본 미쓰비시는 새로운 하이브리드카를 선보였다. 포 도어(4 door), 사륜구동 콘셉트카인 이 차는 1L 용량의 연료엔진과 4바퀴에 모두 전기모터가 달려 있어 화석연료보다 더 강한 전기의 힘으로 움직인다.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북동 무역풍의 영향을 받아 흐르는 북적도해류 북대서양을 환류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02
국내 최초의 로봇 물고기가 탄생했다.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김용환 교수팀은 최근 물고기의 생김새와 운동을 모방한 수중 로봇을 개발했다. 머지않은 미래에 동해와 서해를 넘나들며 한반도 해역을 든든히 지켜줄 ‘로피’를 소개한다. 내 이름은 로피‘로피’(ROFI)라는 이름은 로봇 물고기를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과학동아
l
200601
한국 여자골프 선수들의 활약이 두드러져 세간의 화제다. 생각해 보면 희한한 일이다. 반만년 동안 골프 비슷한 어떤 운동도 해 본 적이 없는 한국 아낙네들이, 어떻게 골프를 만들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키운 사람들을 이기는 것일까. 유독 한국인이 양궁을 잘 하는 이유가 있을까. 같은 육상경기인 ... ...
국산 기술로 얼음 바다 가르다
과학동아
l
200601
“수고했네! 이제 내가 조종할 테니 가서 눈 좀 붙이게나.”항해사들이 임무를 교대할 시간이다. 1992년 12월 남극반도 북단 킹조지섬 부근 바다를 항해하던 한국해양연구원의 종합해양연구선 ‘온누리호’의 조종을 맡은 항해사들은 요 며칠 동안 계속 초긴장 상태다. 남극해역을 항해하다 언제 빙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
눈과 얼음의 나라 북극과 남극은 결코 쉽게 갈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16세기 유럽인들은 북극 탐험에 나섰고, 이보다 늦은 18세기에서야 영국의 제임스 쿡 선장이 남극권 항해에 성공하기까지 수많은 도전과 실패가 있었습니다. 영하의 추위와 가혹한 극지의 환경은 사람의 접근을 어렵게 했지요.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