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언
제의
제안
제사그릇
예기
d라이브러리
"
제기
"(으)로 총 1,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11
수 있는 문명체 수를 계산하는 방정식을 고안했다. 바로 ‘드레이크 방정식’이다. 1961년
제기
된 드레이크 방정식은 외계인과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는 유용한 틀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통신이 가능한 지적 문명체의 수를 계산하는 변수는 모두 7개다. 즉 생명체가 거주 가능한 행성을 ... ...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0
이런 사실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2006년에도 일부 소비자단체가 문제를
제기
하고 언론은 이를 보도한 적이 있지만 저나트륨소금은 포장에 아무런 경고문구 없이 웰빙소금이라는 이름으로 버젓이 판매되고 있다. 최근엔 저나트륨소금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이 정제염과 별 차이가 없다는 힘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10
있다. 많은 반론을 부른 주장이었지만 전지가 현대인의 전유물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이
제기
된 것이다.실제 고대인들이 전지를 썼다는 강력한 증거가 나온 적도 있다. 기원전 3세기에 지금의 이라크 일대를 지배했던 파르티아인들은 흙으로 만든 그릇에 화학물질을 담아 불을 켠 것으로 보이는 물건을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10
1조 8000억 원의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다”라는 분석이 나온다.비슷한 견해는 해외에서도
제기
된다. 외신들은 지난 2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스티브 플루더 제너럴 일렉트릭(GE) 부사장의 말을 인용해“스마트 그리드를 활용하면 미국에서 41GW(기가와트,1GW=109W)의 전력을 아낄 ...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
수학동아
l
200910
작은 것의 비가 작은 것에 대한 큰 것의 비와 같을 수 있는가?”라면서 음수의 문제점을
제기
했다. 음수는 답으로 인정할 수 없다!‘산술’은 250년경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 알렉산드리아 수학자 디오판토스의 저서다. 방정식 문제 150여 개가 담긴 일종의 문제집이다. 디오판토스는 정·부정방정식의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09
분리 계통에서 문제가 생긴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몇 가지 예측을 내놓는다. 우선
제기
되는 건 전기장비의 이상이다. 총알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발사체 안에 있던 부품에 문제가 일어났을 수 있다는 뜻이다. 극한 환경이 만든 오류다.서울대 윤영빈 교수는 “전기장비에 문제가 나타나면 ... ...
“네안데르탈인 너무 적어 빨리 멸종”
과학동아
l
200908
네안데르탈인이 수적으로 너무 적었기 때문에 멸종할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이 나왔다.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아드리안 브릭스 박사팀은 “네안데르탈인(호모 ... 멸종 원인을 놓고 지금까지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낮은 지능이나 자연재해 같은 여러 가지 학설이
제기
돼 왔다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08
천연물 신약이니 건강식품이니 하면서 약용작물에 관심이 높아지자 육종의 필요성이
제기
된 것이다.그러나 약용작물 육종은 쉽지 않다. 김 교수는 “약용작물에 들어 있는 유효성분은 함량이나 기능이 환경에 따라 변화가 심해 다른 작물에 비해 육종의 효과가 적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08
기지가 건설된 뒤 적지 않은 시간이 흐른 시점이었죠. 저는 쇄빙선에 회의적인 시각이
제기
될 때면 ‘그건 철학의 문제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어느 분야에나 당면한 과제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미래를 내다본 투자가 없으면 비약적인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 어렵죠. 쇄빙선도 그런 투자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07
이들의 조상이 호모 에렉투스가 아니라 좀 더 원시적인 호모속 인류였을 가능성을
제기
한다”고 설명했다.미국 하버드대 인류학과 다니엘 리버만 교수는 같은 호에 실린 해설논문에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조상이 초기 호모속 인류인 호모 하빌리스일 가능성을 언급했다. 리버만 교수는 “발뼈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