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75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한없이 가볍고 따뜻한 패딩 깃털 얼마나 알고 입나
과학동아
l
2018.12.09
보온력도 좋아진다. 하지만 날개깃이나 꼬리깃과 같이 깃대가 굵은 깃털은 오히려
작은
것이 좋다. 깃대가 너무 클 경우 침구나 의류를 뚫고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우모 생산 업체인 우모의세계를 운영하고 있는 김한수 대표(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 섬유산업본부장 역임)는 “실제로 침구에 ... ...
[여기에 과학] 퀸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 '태양의 길'에 빠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겁니다. 황도를 따라 1㎜의 먼지 입자들이 무수하게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런 입자나 크고
작은
천체가 태양빛을 다시 반사하는 것을 황도광이라 합니다. 태양에 가까울수록 밝으며, 일출 전 동쪽 하늘이나 일몰 전 서쪽 하늘에서 잘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7119스페인령 테네리페섬의 ... ...
감마선으로 보이지 않던 별자리 새 지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08
밝은 별이 있어 찾기 쉽다.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와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
개자리의 프로키온을 이으면 정삼각형이 만들어진다. 이를 ‘겨울의 대삼각형’이라고 한다. 겨울의 대삼각형을 찾았다면 밤하늘의 다이아몬드도 찾아보자! 프로키온과 시리우스, 오리온자리의 리겔을 이은 다음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光明)’ 등을 이용해 달 토양에 식물을 심는 온실 실험도 처음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작은
속씨식물인 애기장대를 달 토양에 심고 온실을 만들어 적정 온도를 맞춰준 뒤 중력이 지구의 16.7%에 불과한 달 환경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지 시험한다는 것이다. 앞서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식물을 키운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스탠퍼드대 응용물리및생물학과 교수가 광집게를 개량해 인간이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힘인 피코뉴턴(pN·1pN은 1조 분의 1N) 단위의 힘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근육 단백질인 액틴과 미오신 같은 분자 모터의 힘이나, DNA 등 유기체의 기계적인 특성을 연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동일 분야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본 아놀드 교수의 모습 중 가장 행복한 모습이었다. 그의 사무실 문 옆에 붙어있는
작은
카드가 새삼 생각나는 날이었다. 그 카드에는 ‘할 수 있다고 믿었기에 결국 해냈다’고 적혀 있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2018년 11월호, 2018 노벨상 ※ 필자소개 정상택 국민대 응용화학과 교수 서울대 ... ...
외국 발사체 빌려탔던 ‘우리별 1호’… 3년내 독자기술로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일본 유럽 인도 중국 등 6개국만이 발사에 성공한 엔진이었다. 2002년, 0.1t의 추력을 내는
작은
분사기를 처음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은 16년 뒤 이들을 720개 모아 75t의 강한 추력을 내며 섬세한 통제까지 가능한 독자적인 엔진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기에 이르렀다. 지난달 28일 이 엔진을 ... ...
“인절미는 저리 가라. 나는 밀가루 반죽”
팝뉴스
l
2018.12.08
반죽처럼 보인다. 포인트는 소파와 탁자 사이에서 늘어진 배다. 동그랗게 부풀어 오른
작은
풍선 같다. 몸에 얼마나 살이 많은지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겠다. 뚱뚱하며 게을러 보이는 이 강아지는 귀엽다는 평가와 함께 부럽다는 말도 듣는다. 한없이 마음 편하게 쉬는 건 지친 현대인들의 ... ...
달 뒷면에 사상 첫 착륙선…中 ‘창어 4호’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光明)’ 등을 이용해 달 토양에 식물을 심는 온실 실험도 처음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작은
속씨식물인 애기장대를 달 토양에 심고 온실을 만들어 적정 온도를 맞춰준 뒤 중력이 지구의 16.7%에 불과한 달 환경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지 시험한다는 것이다. 앞서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식물을 키운 ... ...
암흑물질 '윔프' 발견 오류 가능성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22억 년 가야 하는 거리에 위치한 '아벨 1689' 은하단을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영상. 가운데에 마치 렌즈로 확대한 듯 은하 분 ... 건설하고 있다. 더 정확하게 암흑물질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성이 다른(질량이
작은
) 암흑물질 탐색에도 나설 계획이다.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