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880건 검색되었습니다.
닭고기 카레에 빠졌던 갈매기 ‘구조’
팝뉴스
l
2019.08.28
제공 영국의 듀크스베리에 있는 야생
동물
병원이 최근 페이스북에 공개한 사진이다. 해외 네티즌들과 언론의 주목을 받은 사진 속 새는 깃털 색이 아주 화려해서 인상적이다. 그런데 더 인상적인 것은 냄새였다고 한다. 강한 카레 냄새를 풍겼다는 것이다. 화제의 갈매기는 ‘오렌지 ... ...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나왔다. 장재은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와 최지웅 교수, 심민경 연구원팀은 살아있는
동물
처럼 ‘고통’을 느끼는 센서를 7월 개발했다. 연구팀과 문제일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최홍수 로봇공학전공 교수팀은 압력과 온도를 동시에 느끼는 센서를 만들었다. 먼저 산화아연을 매우 작고 긴 ... ...
아기도 영양소 챙기면 '채식주의' 가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영양실조에 걸리기 쉽다"고 경고했다. 세계적으로 건강을 생각하고 환경을 보호하거나
동물
복지를 위해 채식주의자는 계속해서 늘고 있다. 한국채식연합에 따르면 국내 채식 인구도 전체 인구의 2~3%인 100만~150만 명에 이른다. 2008년 대비 10배가 증가한 수다. ... ...
집마당에서 펼쳐진
동물
의 왕국
팝뉴스
l
2019.08.25
비둘기를 사냥했다. 매는 용맹하며 무자비하다. 비둘기는 가엾게도 속수무책이다. 어떤
동물
도 약육강식의 먹이 사슬을 피할 수 없다. 사진 촬영 장소는 뒷마당이라고 한다. 마당에서 생사가 오가는 투쟁이 벌어졌던 것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무서운 장면이지만 웬지 경외감도 느껴진다고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에테르를 사용하여 성분을 추출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성공했다. 쥐와 원숭이를 사용한
동물
실험에서 효과가 있었다. 새로운 방법, 아니 이천 년 전 방법이 성공한 것이다. 투유유는 추출물을 사람에게 직접 투여했다. 바로 자신이었다. 지금이라면 연구윤리위원회 제소감이지만, 일단 자신과 ... ...
[에코리포트]제주 비자림로 확장 논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25
불가능하고, 표 내용도 일부만 바꿔 허위 작성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식물전문가가
동물
에 대 해 조사한 것도 부실 작성의 근거로 꼽았다. 그리고 7월 30일,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자체 조사를 통해 평가서가 부실 작성됐다고 판정했다.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 하지만 공사는 두 달 만에 ... ...
"벌독 성분서 새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 찾았다"
연합뉴스
l
2019.08.24
국내 연구진이 벌독 성분을 이용해 암세포 성장의 근본 원인으로 꼽히는 종양 내 대식세포만 골라 죽이는 방식의 새로운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을 개발했다. 경희대 한의대 기초한의과학과 연구팀(배현수 교수, 이찬주 박사)은 벌독 유래 성분인 멜리틴과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펩타이드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쁜 사람보다 위선자를 더 싫어하는 이유
2019.08.24
하면 억울하기 마련이다. 사회적으로 정해지는 가치가 곧 자신의 존재 가치인 사회적
동물
에게는, 입시나 입사 부정이 기분 나쁜 것과 비슷하게 평판 부정 또한 기분이 나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말과 행동이 다른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 위선을 저지르지 않는 방법은 ... ...
'조국 딸'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환자들의 유전정보에서 공통적인 변이를 찾아냈다"며 "이 유전자에 점돌연변이가 있는
동물
모델을 만들어 실제로 허혈성 저산소뇌병증이 발생하는지 확인했다면 더 좋은 연구였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점돌연변이가 병을 직접적으로 유발했을지 확인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논문에 대한 ... ...
고통 느끼는 로봇 나오나…'인공피부'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전기가 발생한다. 하나의 센서로 열까지 감지하고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된 것이다.
동물
이 촉각 고통신호를 느끼는 과정(위)와 연구팀의 촉각센서가 느끼는 과정을 비교했다. 촉각이 뾰족하거나 뜨거운 물체에 닿았을 때 특정 조건를 발생시키면 이를 고통 신호로 판단하는 신호처리 기술을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