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대
모던
국립현대미술관
국립
미술관
현시대
현대사회
d라이브러리
"
현대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또 전파에 비해 주파수가 낮으므로 반송(搬送)되는 정보량도 매우 적고 해상력도 나쁘다.
현대
의 잠수정개발과 운용기술수준은 정보전달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수중음향기기의 정확도로서 평가되기도 한다.수중에서는 빛의 감쇄가 크므로 1백m 이상 깊은 해저에는 태양광이 전혀 들어오지 못하는 ... ...
현대
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적합하게 설계됐다. 패키지구조, 추상적 자료제공, 구조적 프로그래밍기법 등
현대
의 첨단 프로그래밍 기법이 완벽히 녹아있었다. 남은 것은 그러한 규격조건에 맞는 컴파일러를 만드는 것 뿐이었다.미 국방부에서는 에이다를 보급시키기 위해 국방부에 납품하는 프로그램은 반드시 에이다여야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걷는 TV, 말하는 TV가능성 : 50%예상실현년도 : 1993년가격 : 2천5백달러(약1백85만원)
현대
의 우리 사회에서는 모든 권력이 TV덕이라고 하지만, TV 그 자체는 오히려 귀찮기조차 한 존재다. TV를 켜기 전까지는 이 놈은 움직이지도 않고 아무런 재미도 주지 못한다. 그러나 한 전자회사가 이런 TV에 변화를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안전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제는 약 반세기 동안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무기로 또
현대
문명에 없어서는 안될 에너지원으로 존재해 왔던 원자력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내려야 할 때다. 탱크나 쟁기를 모두 쇠로 만들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농기구인 쟁기도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밀어내고 교육용언어로서 확고부동한 자리를 잡게 됐다.그레이스 호퍼여사의 표
현대
로 알골은 기절할 정도의 절묘한 구조의 아름다움이 있지만, 아무도 쳐다보지 않아 좀 쓸쓸할 따름이었다. 쓸쓸한 아름다움, 이는 알골의 운명이었다. 입출력도 제대로 없는 알골은 먹지도, 배설하지도 않는 우아한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증발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중력법칙과 양자 역학 그리고 열역학의 이러한 통합은
현대
이론물리학의 아주 훌륭한 업적중의 하나다.호킹과 몇몇 학자들은 대폭발에서 아주 작은 블랙홀이 창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질량이 ${10}^{12}$㎏인 아주 작은 블랙홀은 그 수명이 약 2백억년쯤 된다.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오히려
현대
인은 오히려 과(過)영양인 경우가 더 많아졌다.그런데도 건강을 추구하는
현대
인은 비타민 종합영양제 보약 건강식 등 건강에 좋다는 것을 한두가지씩 먹고 있어야 마음의 안정을 얻는다. 그것은 마치 플라시보의 역반응 같기도 하다.보신탕이 몸에 좋다고 해서 지나치게 먹으면 오히려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1960년 소련 지역에서 미국 정찰기 U-2기가 격추되는 사건이 발생한 뒤 미국의 핵무기
현대
화와 맞서 경쟁할 것을 결심하고 CTB를 거절했다. 그후 CTB는 유명무실해졌다. 1980년대 중반에 미국과의 핵경쟁에서 한계를 느낀 소련은 다시 CTB의 추진을 요구했으나, 미국은 새로운 핵방어 계획인 SDI(Strategic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벌어지고 있다.제3의 입체영상(홀로그램)은 인류의 생활에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초
현대
적인 문화를 제공하는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상상조차 불가능했던 일들이 홀로그램을 통해서 많은 분야(의학 산업기술 상업 경제 군사 예술)에 적용되고 있고 그 속도는 급속도로 빠르게 확산 되고 있다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개최됐던 '경부고속전철건설의 효율적 추진방향' 심포지움에서 패널토의자로 참가했던
현대
정공 철차영업담당 강재탁 상무는 "고속전철이 반드시 시속 3백㎞ 대여야만 하는가는 회의적이다. 국내 기술진으로 시속 2백㎞ 정도는 충분하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단지 한 개인의 생각만은 아니었다.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