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완전 기대 새학기 생활! 수학은 공평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달라지지.칸별로 줄을 섰을 때는 그 칸에 줄을 선 나머지 사람들은 20~30분을 기다려야 해.
하지
만 한줄로 섰을 때는 다른 칸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무작정 기다려야 하는 일이 없어져. 게다가 나중에 온 사람도 어느 줄에 서야 하는지 눈치 볼 필요 없이 줄을 서면 되기 때문에 훨씬 더 효율적이야 ... ...
수학이라면 지진도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중간에 있어 판과 판 사이에 위치한 일본에 비해 지진이 일어날 확률은 매우 낮아요.
하지
만 지진은 매년 일어나잖아요. 지진이라는 자연 재해로부터 좀 더 안전해지기 위해서는 지진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해요.”박사님은 호기심이 많아서 어떤 현상이 왜 그런지 항상 궁금해 하고 스스로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많지 않다. 그래서 할일이 많은 도전적인 분야다. ‘세상의 모든 경계에선 꽃이 핀다’고
하지
않았던가. 신경과학과 건축학이 만난 신경건축 분야에서 우수한 인재들이 융합적인 연구의 꽃을 피우길 기대해 본다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미래 기후를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하지
만 인간의 활동이 지구의 기후 변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어 보이는군요.유난히 춥고 긴 겨울, 건강한 지구를 위해 실내 온도를 2℃씩 내려 보면 어떨까요? 이상 어과동 기상 특보였습니다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독일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는 1900년 국제수학자대회(ICM)에서 지금도 다 풀리지 않은, 20세기에 수학자들이 해결해야 할 23개의 문제를 제안했다.힐베르트 이후로는 그렇게 수학의 ... 힘들다. 2018년에 한국인 필즈상 수상자가 나오려면 수학에 접근하는 방식부터 바꿔야
하지
않을까 ... ...
수학으로 푸는 두근두근 새학기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가게 마련이지. 그러나 수학동아 독자라면 이런 상황에서도 뭔가 다른 모습을 보여야
하지
않겠어?평소에 수학을 즐기고 좋아했다면 새학기 교실에서 분주하게 벌어지는 여러 일 속에서도 소리 없이 활약하고 있는 수학을 찾을 수 있단다. 우리는 새학기를 준비하는 동시에 알게 모르게 수학을 ... ...
[새학기 특별 보너스] 새학기 증후군?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학년이 높아질 때마다 어려움을 몇 번 느끼면 그게 쌓여서 수학 공포증이 되곤
하지
요. 특히 단순 계산만 반복하는 방식으로 공부하거나 선행 학습에 대한 압박을 많이 받은 학생일수록 그렇게 느낀답니다.따라서 수학을 되도록 재미있게 느낄 수 있게 실생활과 연결시켜 생각하거나 체험 학습과 ... ...
우울과 몽상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근거 없는 예감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선택의 순간이 왔을 때 감에 의존
하지
말고 확률을 계산하는 습관을 들여 보세요.Epilogue_포가 들려준 이야기가 어땠나요? 공포소설이나 추리소설을 많이쓴 포였지만, 그의 작품 속에는 수학이 많이 등장합니다. 포의 다른 소설도 읽어 보며 그 ... ...
높은 산에서는 숨만 쉬어도 살이 빠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박사가 비만 체형을 가진 사람이 고도가 높은 곳에서 장시간 체류하면 특별히 운동을
하지
않아도 몸무게가 빠진다는 사실을 알아내 국제학술지 ‘식욕’ 2월 4일자에 발표했다. 비만 남성 20명을 해발 2650m에서 1주일간 지내게 한 결과 신진대사가 빨라지고 식욕이 떨어지면서 몸무게가 평균 1.5kg씩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어떤 방향의 융합과 학제 간 연구가 이뤄져야 하는지는 아직까지 아무도 답을 제시
하지
못하고 있다. 몇 년간 시대의 대세로까지 취급받았던 ‘통섭’ 역시 부침을 겪고 있다. 최근에는 박이문 연세대 초빙교수가 ‘통합의 인문학’을 발간하면서 윌슨의 통섭론을 비판하기도 했다. “과학이론도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