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길
대로
거리
길거리
번화가
한길
행로
d라이브러리
"
큰길
"(으)로 총 3,07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내시경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조기위암 담석증 등의 치료에 큰 성과를 보이고 있는 내시경은 의학분야는 물론, 공업용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체내부를 들여다 보는 기구내시경(內視鏡)은 한마디로 안을 들여다보는 거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은 의학용으로 쓰이는 기구에만 국한돼 이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 ...
BASIC강좌⑤ 서브루틴의 다양한 활용법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서브루틴(subroutine)은 프로그램을 모듈(module)화 할 수 있는 하나의 프로그램의 단위로서 다른 프로그램에서 여러번 같은 루틴을 활용할 수 있다. 서브루틴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기능단위로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 당시뿐만 아니라 나중에 프로그램을 수정 편집하기 편하다. PC교실⑤ ... ...
미국의 서해안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골든 스테이트캘리포니아는 기후가 따뜻하고 하늘은 푸르고 작은 새들이 지저귀고 곡식과 과일도 풍부하며 바다의 혜택도 크게 받고 있는 곳이다. 문자 그대로 골든 스테이트라 할수 있다.그러나 이것은 동부의 뉴욕에서 보면 골드러시시대의 분위기를 지금까지도 느끼에 하는 이름으로 실은 문 ... ...
유전공학 물질특허의 밀물 유전공학 활성화 할듯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유전공학은 분자 생물학의 산업적 응용을 통해 인류 복지증진에 기여할 새로운 첨단 기술로서 정밀 전자공학과 함께 2000년대 기술혁신을 주도해 나갈 총아로 꼽힌다. 그 이유는 인류 생존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식량, 에너지, 질병 그리고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해 줄 무한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 ... ...
생체전자공학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바이오 일렉트로닉스란 무엇을 지향하는 과학인가? 바이오 테크놀로지에 일렉트로닉스, 여기에 신경과학 유기합성과학 등도 관여하고 있다. 그 목표는 인간의 '뇌'로 향하고 있다.실리콘반도체의 한계 바이오일렉트로닉스(생체전자공학)의 어원부터 설명하면 바이오테크놀로지(Biotechnology)와 일렉 ... ...
물질세계⑥ 소립자와 우주의 계층구조 우주는 대칭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순간적으로 탄생과 소멸을 되풀이 하는 소립자는 물질세계의 신비를 더해준다.지난 호에서는 원자핵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핵속에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중간자에 의하여 묶여있으며, 이 원자핵을 파괴할때 수 백 종류의 새로운 소립자가 나온다. 이들 소립자를 만들고 있는 ... ...
'86세계와 한국의 과학계 희망과 좌절이 엇갈린 한 해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86년은 최고와 최악이 뒤범벅 되었다.세계의 과학기술계는 희망과 좌절이 뒤섞인 한해를 보냈다. 인류의 미래에 대해 언제나 낙천적인 견해를 지닌다는 자연과학자들도 금년 한 해 동안 과학기술과 관련된 대형사고들을 접하면서, 가속적으로 발전하는 과학기술은 이것을 다루는 인간의 능력이 미 ... ...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200억t 한꺼번에 쏟아져도 막아낼 수 있는 댐건설 후보지 2~3곳금강산댐에 대항할 대응댐의 건설적지가 발견돼 비상한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2백억t이라는 가공할 규모의 저수용량을 보유한 북한의 금강산댐이 유사시 대남공격무기화할 가능성을 놓고 우려하던 상황에서 구체적인 대응책이 마련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회장 신동소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사무자동화시대가 오면 종이없는 사무실이 가능하겠지만 아직은 요원한 이야기. 우리나라 사람이 한해에 쓰는 종이의 양은 연간 54㎏에 달한다. 게다가 지난 75년에서 80년까지 종이 소비량은 두 배로 늘어났고, 작년 한 해동안에도 70만t의 고지(古紙)를 외국에서 들여와 1억달러 이상을 썼다. 마침 ... ...
PART3 분자생물학의 과거ㆍ현재ㆍ미래 새로운 생명관이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생물학은 급변하고 있다. 단백질에서 DNA로 옮겨진 관심은 동식물의 개조를 가능하게 했다.오늘날의 생물학은 10년전의 생물학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전에는 최고의 실험 물리학자도 손대지 못한 실험이 새로운 연구기술이 개발됨으로써 지금은 흔해졌다. 새로운 분자생물학은 실험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