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국방네트워크에 침입한 컴퓨터바이러스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책임자로 근무하고 있다. 주업무내용은 아파네트를 비롯 국가의 주요 컴퓨터통신망을
외부
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일이다. 일부에서는 5년전의 그의 증언이 컴퓨터광들인 해커(hacker)들에게 바이러스를 제작하도록 부추겼다고 비난하고 있다.아버지와 아들은 모두 그들의 동료에 의해 ... ...
파킨슨씨병, 부신수질이식술로 치료에 성공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근본치료는 아직 불가능한 실정이다. 다만 파킨슨씨병은 도파민의 감소를 초래하므로
외부
에서 도파민을 공급하는 방법이 현재까지 개발된 치료법. 이를테면 단지 증상을 줄여주는 대증(對症)치료가 전부였던 셈이다.그래서 도파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약제인 엘-도파가 파킨슨씨병의 '전담약'으로 ... ...
양과 질에서 형편없는 한국의 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기대하고 있으나 매년 예산이 반영되지 못한 점을 감한하면 단언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외부
공사는 다체적으로 끝났다고 하나 다양한 전시물을 제대로 갖추어 본격적으로 운영되기까지에는 많은 시간과 함께 어려움이 뒤따를 것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어쨌든 종합과학관이 개관하게 되면 일단 ... ...
상대성이론의 모든것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빠져 나가는 모양으로 표시되는데 점점 사건의 지평면으로 접근한다. 이 시공간은
외부
관측자가 보는 것이므로 사건의 지평면 내부나 특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다.웜홀(벌레구멍) Ⅰ 그렇다면 블랙홀은 무한정 밑으로 내려가기만 하는 것일까 ? 또 블랙홀이 빨아 들인 물체는 어디로 배출되는 ... ...
고장난 핵추진 인공위성의 위험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자세에서도 안정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약한 태양전지 패널과는 다르게
외부
를 단단한 소재로 감싸는 것이 군사위성으로서의 이점이기도 하다.이런 여러가지 이유에서 소련은 오늘날까지 65개의 원자로위성을 쏘아 올린 것으로 보인다. 그 중 이번 경우를 포함하여 3개가 추락했으므로 ... ...
예술의 경지에 이른 현대의 도청기술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잇달아 사고력 저하나 권태감을 호소한 적이 있다. 이를 조사한 CIA(미국중앙정보국)는 "
외부
에서 발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조사(照射)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를 제출했다. 그뒤에도 미국대사관 직원과 그 가족들의 혈액을 검사한 결과 비정상적인 백혈구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왜 그랬는지 ... ...
유전공학 뜻밖의 재난가져올지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현재 유전공학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숙주생물들은 유전적 변이를 통해 실험조건이외의
외부
환경에서 적응능력이 상실된 것들이기 때문이다.설혹 재조합 유전자를 가진 생명체가 환경내에서 충분한 생존능력을 획득하였다 할지라도 (4)번 항의 질문에서처럼 우려할 만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에 ... ...
첨단건축, 어디까지 왔나 「수직도시」초고층빌딩의 기술세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사용했다.지난 20년 이상 고층건물 공학자들은 횡력을 부담하는 부재를 건물의 중심에서
외부
로 옮기는 혁신적인 착상을 개발해왔다. 이 결과가 1960년대초 방글라데시 출신의 '칸'(F.R.Khan) 등에 의해 발표되었다. 칸은 외벽의 강성을 높여 고층건물이 마치 땅속에 박힌 거대하고 속이 빈 튜브형태의 ... ...
스트레스 해결의 손자병법 잘만 알면 극복쉬워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자극에 대해 체내에서 일어나는 비특이적(非特異的)생물반응"이라고 정의했다. 여기서
외부
적 자극이나 요구를 흔히 스트레서라고 부른다.셀리에박사가 처음 스트레스의 개념을 세우게 된 실험은 이렇다. 그는 난소와 태반의 추출액을 쥐에 주사하였다. 그리고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해부해 ... ...
우리몸을 방어하는 장기 편도선, 수술하면 오히려 큰 손해볼수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이 방어기능설이다. 즉 우리 몸의 입구에 위치하면서
외부
로부터 침입하는 세균과 싸우고 면역항체를 생산함으로써 몸을 외적으로 부터 방어하는 기능을 한다는 주장이다. 항체생성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소아기에 편도가 발육 비대되나 점차 성장하여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