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그대로 쓸 수 있답니다.Q. 로봇공학자를 꿈꾸는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로봇은
여러
과학 분야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어요. 다양한 분야의 과학지식이 모두 필요하지요. 오션원을 만들 때에도 기계공학자, 수학자를 비롯해 많은 과학자들이 함께 했답니다.그러니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 ...
[현장취재]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 주는 생생한 사막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작가님은 서호주 외에도 미국 그랜드캐니언, 멕시코 치첸이트사의 피라미드 등 세계
여러
나라를 다니셨어요. 여행을 다니며 오감으로 느낀 것을 바탕으로 총 17권의 책을 썼답니다.우주에 직접 갈 수 없다면 하늘을 보라!작가님은 우주와 인연이 깊어요. ‘별똥별 아줌마’로 불리게 된 이유도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블럭과 코딩을 연결하면 우주 관제소가 뚝딱! 다두블럭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가만히 놓여 있는 블럭은 조금 심심하게 느껴져요. 그런데 이 블럭에 코딩이 연결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블럭과 코딩의 조합으로
여러
가지 신기한 물건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섭섭박사님과 함께 다두블럭으로 상상력 가득한 블럭 작품들을 만들어 볼까요? ...
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여지없이 지구 온난화를 첫 번째 이유로 꼽고 있어요. 특히 지구 온난화로 발생하는
여러
현상들 중에서도 ‘블로킹 현상’이 폭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분석하고 있지요.블로킹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트기류에 대해 알아야 해요. 북극 근처에서 지구를 뱅글뱅글 도는 바람인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한자예요. 여기서 ‘울 조(喿)’는 나무(木)에서 울고 있는 새들의 입(品)을 나타내지요.
여러
마리의 새들이 시끄럽게 우는 모습에서 ‘정신없다’라는 뜻이 생기기도 했답니다. 따라서 ‘잡을 조(操)’는 ‘손(扌)을 정신없이(喿) 움직여 물체를 잡거나 다루다’라는 뜻이에요.‘지을 작(作)’에는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있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일에 함께 참여했어요. 더스트 버스터즈 연구원들은 사전에
여러
테스트를 통해 미세먼지를 포집하기에 가장 적합한 필터를 찾았지요.“드론 바로 밑에 포집기를 달면 드론이 포집기를 장애물로 인식해요. 그래서 드론에 포집기를 줄로 매달아 날린답니다. 참, 드론이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조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어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PUFFER의 몸통은
여러
개의 판이 유연한 관절로 이어져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답니다. 덕분에 필요한 순간에 몸을 납작하게 접어서 좁은틈을 지날 수 있지요.현재 PUFFER는 화성으로 파견되기 전, 지구 곳곳의 험난한 지형에서 실전 ... ...
[가상인터뷰] 바다오리 알이 타원형인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타원형 알로 진화했다는 가설도 있어요. 둥지는 대부분 동그란 모양이에요. 그래서 알
여러
개가 한 둥지 안에 있으려면 공간의 효율을 높여야 하지요. 이때 타원형 알이 구형 알보다 빈 공간을 더 적게 만든답니다.그렇다면 모든 알이 타원형이겠네?그렇지는 않아요. 타원형인 알도 있고, 구형인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애벌레들을 많이 만났어요. 곤충이 우리에게 얼마나 유익한 존재인지 알 수 있었지요. 또
여러
가지 색을 띠는 알록달록한 애벌레의 매력을 흠뻑 느낄 수 있었답니다. 친구들도 앞으로 곤충이나 애벌레 를 만나면 징그럽다고 괴롭히지 말고, 소중하게 다뤄 주세요~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조선시대엔 이를 이용해 ‘갑의지(甲衣紙)’라는 갑옷을 만들기도 했어요. 종잇조각을
여러
겹으로 겹친 뒤 이를 옷에 붙여서 만든답니다. 이때 종이엔 옻칠을 해서 단단하면서도 물에 젖지 않게 만들었지요. 옻칠을 한 종이는 내구성이 좋아서 대야로 만들기도 했어요.종이 찌꺼기가 플라스틱으로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