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바다를 보면 지구 역사 가 보인다!바다 속에 들어오니 신기한 생물들이 많지? 나도 신종 생물을 찾아 볼까….“두두 두두두~~!”엥? 이게 무슨 소리지? 옆에 있는 망원경 좀 줘봐. 흐음…, 드릴 같이 생긴 게 바다 밑에 있는 땅을 뚫고 있는데? 아~, 해양 지각을 뚫는다는 그과학자들이로군!과학자들이 ...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만들어낸 미세조류. 육상생물의 토대를 만들어준 미세조류가 오늘날 가장 골치 아픈 육상생물인 인간이 초래한 각종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시 나서고 있다. 미세조류가 ‘녹색 황금(Green Gold)’로 불리는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녹색 황금 캐는 미세조류 농장Part 1. 조류, ... ...
- 새만큼 똑똑한 도마뱀도 있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이 두 마리를 각각 ‘플라톤’과 ‘소크라테스’라고 이름 지었다. 캐나다 맥길대 생물학과의 우리스 리페브르 교수는 “이 결과는 파충류와 조류를 비교하기 보다는 도마뱀 종류 사이의 인지능력을 비교하기에 알맞다”며 “아놀리 속의 도마뱀이 다른 종류보다 큰 뇌를 가져 빨리 배울 수 있는 것 ...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마지막으로 용어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유전자라는 용어는 현대 생물학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용어지만 명확한 정의를 내릴 수 있는 학생은 많지 않다. 멘델유전학에서 유전자는 형질을 결정하는 요소지만 전사과정에서는 전사되는 mRNA의 주형 DNA와 상보적인(비주형 가닥) DNA가닥의 ... ...
- 쥐, 인간을 구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할 수 있겠죠. 어서 빨리 한국에도 마우스 병원이 들어설 날을 기대할게요. [일본 도쿄대 생물물리학 및 생화학부의 사카노 히토시 교수는 냄새를 못 맡는 쥐를 만들었다. 이 생쥐는 천적을 만나도 두려움을 느끼지 않았다. 동물이 주로 후각으로 공포감을 느낀다는 학설을 증명한 것이다. ... ...
- 세상을 움직이는 꽃가루의 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아인슈타인 같은 유명과학자들이 연구해온, 그리고 그들에게 가려졌지만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해온 중간세계를 흥미롭고도 섬세하게 다뤘다 ... ...
- 폴링 스카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나를 찾아왔는데 나는 이미 수명이 다해 죽어버렸을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지구가 ‘생물이 살 만한’ 별이었던 시간도 사실은 길지 않다. 겨우 1만 년 전까지 지구가 빙하기였던 것도 생각해 보자. 친구가 시간을 잘못 맞춰 왔다면 얼음으로 가득한 지구나 아직 식지 않았던 불로 가득한 행성만 ...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여러 가설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지구에 처음 생명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하거나, 생물체 내 화학 반응을 다루는 분야인 생화학에 관심 많은 독자에게 적극 추천한다 ...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지난해 12월 9일자에서 논문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여러 과학자들의 주장을 보도했다. 생물지구화학을 연구하는 로저 서몬스 매사추세스공대(MIT) 교수는 “논문의 저자들은 이 박테리아가 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보여줬을 뿐 비소가 들어 있는 물질의 분자 구조를 확실히 보여주지 못했다”고 ... ...
- PART1. 곤충을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말일까? 벌레는 곤충은 물론이고 거미처럼 곤충에 속하지 않고 절지동물에 속하는 작은 생물까지 모두 일컫는 말이다. 2. 정답 모두전세계 곤충은 약 130만 종에 이르며, 전체 동물의 약 70%를 차지한다. 과학자들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곤충이 훨씬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곤충학자에 따르면 전세계의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