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가상현실’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바로 스마트폰 속에 들어 있는 ‘자이로센서’ 덕분이랍니다.자이로센서는 앞을 똑바로 보고 있을 때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방향과 각도를 알 수 있는 감지기예요. 레이싱 게임을 할 때 스마트폰을 기울이면 자동차가 방향을 바꾸는 것도 자이로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했기 때문이지요.자이로센서는 ... ...
- 눈부시게 찬란한 數 원주율 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배울 수 있어 좋았어요.어때요? 저와 녹색학교 학생들의 벽화 그리기가 흥미롭다면 지금 바로 시도해 보세요. 동네에 벽화를 그릴 수 없다면 학교 복도 벽면에 그림을 그릴 수도 있어요. 벽화를 그릴 공간은 많답니다. π를 입다, 디지털 퀼트미국의 수학 예술가 존 심스입니다. 저는 대학원생이 되기 ... ...
- [2017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즐거운 수학 체험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펼쳐진다난해한 수학을 손끝으로 그려보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체험관이 있습니다. 바로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독일의 오버볼파크 연구소와 함께 준비한 IMAGINARY 프로그램입니다. 내 손으로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고 생생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학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대상: 5명 이상 40명 이하 ...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등 조증과 유사한 이상 행동을 보였다. 또 조울증 치료 약물을 투여하자 이런 이상행동이 바로 사라졌다. 즉, 쥐의 이상행동이 조울증의 증상이었던 것이다. 이런 반응은 PLCγ1이 결핍된 흥분성 신경세포가 세포 내 칼슘 조절에 이상을 일으켜 억제성 시냅스 형성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사이테스 관련 다양한 의견을 들었지만 모두 공통적으로 이야기하는 부분이 있었다. 바로 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마음가짐에 대한 것이었다. 키우기 전에 좀 더 심사숙고하고, 한번 키우게 됐다면 끝까지 책임질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키우는 개나 고양이와 달리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대표적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인류의 사촌인 영장류 중에도 겨울잠을 자는 종이 있다.바로 마다가스카르 섬에 사는 여우원숭이다.일년 365일 영장류 생각만 하는 필자 같은 학자들도 접할 때마다 놀라는 사실이 있다. 영장류가 겨울잠을 잔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이 마다가스카르 섬에 사는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것이라는 게 박 교수의 설명이다.반도체 산업에 바로 적용 가능박 교수가 그토록 자랑하는 연구원들이 만든 꿈의 다이오드는 대체 어떤 것일까. 반도체 표면에 금속막을 증착해 만드는 금속/반도체 접합 다이오드는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되고 대표적인 반도체 ... ...
- [포커스 뉴스] 로봇 = 다른 인간 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보상할 수 있는 새로운 의무 보험과 기금을 만들 것 ▲로봇을 설계할 때 비상시에 바로 끌 수 있는 ‘킬(kill)’ 스위치를 넣도록 권고할 것 ▲로봇공학의 기술, 윤리, 규제 등 전문 지식을 공공기관에 제공하는 새로운 유럽 기관을 세울 것 등을 권고했다. 결의안은 2월 중에 있을 EU 본회의에서 본격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대해, 완벽함에 대해, 전능함에 대해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기초 학교만 나오고 곧바로 보병 교육대에서 훈련 받은 나로서는 아줌마의 말을 제대로 이해했는지도 모르겠고, 어디 누구에게 뭘 더 물어 봐야 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여러 해 동안 조금씩 곰곰이 생각해보니, 다만 우주 안에서 우리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파부르야, 힘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물이었고, 빙하처럼 얼어 있는 물이 1.76%, 지하수가 0.76%를 차지했지요. 사람이 마시거나 바로 이용할 수 있는호수와 하천에 흐르는 물은 고작 0.0067%였어요. 이렇게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아주 적답니다. 실제로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은 물 부족으로 고통을 겪고 있지요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