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d라이브러리
"
때
"(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앨런 튜링의 일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드디어 이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완성했다. 컴퓨터와 대화를 나눌
때
컴퓨터인지 인간인지 구별할 수 없다면 컴퓨터가 인간처럼 생각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지금은 어렵겠지만 50년 뒤에는 컴퓨터의 진짜 정체를 알아차릴 확률이 70% 이하인 기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
[가상인터뷰] 올가미를 만들어 나무를 오르는 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새로운 나무 오르기 비법을 발견했지!어떻게 나무를 오르길래?보통 뱀은 나무를 오를
때
몸을 구부려 굽은 곳을 만들어. 이를 이용해서 나뭇가지나 파이프를 잡고 오르지. 이 방법으로는 가는 줄기만 올라갈 수 있어서 연구팀은 뱀이 두꺼운 금속 튜브는 오르지 못하리라 생각한 거야. 그런데 우리는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마스크도 개발됐어요. 영국 기업 젤프는 이 마스크를 소의 콧등 위에 붙이면 소가 트림할
때
마다 나오는 메탄을 이산화탄소로 바꿔 메탄가스 방출을 약 53%까지 줄일 수 있다고 발표했어요. 젤프의 프란시스코 노리스 대표는 “마스크를 더 가볍고 튼튼하게 만들어 2021년은 마스크가 농가에서 실제로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세계에서 제일 강한 구슬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만들어져, 눈이 왔을
때
큰 인기를 끌었어요. 곳곳에서 품절 대란이 일 정도였죠. 이럴
때
공학자의 정신은 무엇? 없다면 만들어라! 공대생들로 이뤄진 유튜브 제작팀 ‘긱블’은 눈오리 집게를 3D프린터로 만들었어요. 그러고도 어딘가 아쉬웠던 긱블, 더 엄청난 걸 만들어 냈답니다. 힌트는~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인공지능이 심판 본다! 청기백기 게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훈훈한 훈쌤이랑 말로만 들었던 인공지능을 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에서 함께 만들어 봐요. ‘청기백기 게임’은 청색 깃발과 백색 깃발을 ... 자세가 어
때
야 하는지 알 수 있지요. 이를 훈련 중인 선수의 자세 데이터와 비교하면 공을 찰
때
고쳐야할 점을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답니다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움직이는 성질이 있는데, 무중력 공간인 우주에서는 이를 막아줄 마찰력이 없기
때
문이지요. 현재 우주에는 약 6000여 개의 인공위성이 있어요. 앞으로 발사될 여러 소형 위성 군체들도 있고요. 이 인공위성들이 수명이 다한 뒤에는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까요? 여러분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 ...
[수학뉴스] 코로나19 보호 장비 부족 게임 이론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없었습니다. 알파기 교수는 2018년 4월 전기 에너지 공급을 게임 이론으로 분석했는데, 이
때
사용한 ‘중앙 집중 및 분산 방법’을 보호 장비에도 적용했습니다. 이 방법은 기업이 보호 장비의 원가와 공급 체계를 통제하고, 각 의료시설이 독립적으로 비축 결정을 내리는 상황을 가정한 뒤 게임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영어로 번역할
때
쓰는 확률분포함수 p(e|f) 에서 e는 영어, f는 한국어 단어의 집합이다. 이
때
, 한 단어에도 뜻이 여러 개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국어의 ‘눈’은 영어로 ‘snow’나 ‘eye’로 번역할 수 있다. AI는 확률분포함수를 계산해 문맥에 맞을 확률이 더 높은 단어로 번역한다. 미국의 ... ...
[기획] 소수점 이하 50조 번째 자릿수까지 나왔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변형해 만든 추보스키 공식을 적용한 것입니다. 이 식을 사용하면 항을 하나씩 추가할
때
마다 약 14개 내외로 π의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50조 번째 자릿수 신기록을 세운 티모시 멀리컨도 추보스키 공식을 적용한 알고리듬을 사용했습니다. 32살의 나이로 요절한 천재 수학자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심리학자나 상담사가 되지 않아도 심리학을 배우면 소설을 쓰거나 영화나 광고를 만들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 현대 심리학에서는 확률을 이용한 통계학을 많이 활용해요. 수학자로서 확률론을 공부했던 저는 이해하기 쉬웠죠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