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장치"(으)로 총 4,4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보를 모두 일로 변환! 효율 98% 정보 엔진 구현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1.25
- 8.5%의 효율을 실제로 구현했다고 25일 밝혔다. 정보 엔진은 정보를 일로 전환하는 장치다. 정보 엔진은 약 150년 전에 나온 ‘맥스웰의 도깨비’라는 물리학 개념에서 출발했다. 전통적인 열역학 2법칙에 따르면 엔트로피(무질서도)는 항상 증가한다. 맥스웰의 도깨비는 열역학 제2법칙이 ... ...
- 체액 한 방울만으로 몸속 질병 진단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5
- SEM 이미지(왼쪽)와 표면 위에서의 액체 사진(오른쪽). - KIST 제공 연구팀은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해 표면 위 액체를 방울 형태로 모으거나, 수십 nL(나노리터, 10억분의 1L)로 분배가 가능한 미세 액적 제어 시스템(Droplet Manipulation System)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을 이용해 혈당, 요산, 젖당 농도를 ... ...
- 화학산업의 비타민 ‘촉매’ 효율 높이는 방법 찾아냈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5
- 안정성이 높았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과 ‘자동화 촉매 합성 장치’를 개발하는데도 성공했다. 상용화가 이뤄지면 앞으로 촉매 제조에 필요한 숙성, 가열 등의 모든 과정을 미리 설정된 값에 맞춰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어 누구나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촉매를 손쉽게 ... ...
- 공기 중에 360도 전방향 홀로그램을 구현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5
- 빛을 특정 공간에 가두는 기술(Optical Trap Display, 이하 OTD)을 이용해, 아무런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 빈 공기층에 움직이는 홀로그램을 만드는 데 성공하고 그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24일자에 발표했다. 지금의 움직이는 홀로그램 기술은 최대 시야각이 360도 보다 작았고, 거리가 멀어지면 영상이 ... ...
- 인플루엔자 항체 있는 사람, 독감 걸려도 전염성 낮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4
- 부분에 집중해 실험했다. 임상시험 참가자들은 실험 기간 동안 특수 제작된 감염 제어 장치 속에서 격리된 채 생활했으며, 전원이 이미 다소의 항체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노출됐다. 그러자 참가자의 64%는 몸 속에 더 많은 수의 항체가 생겼다. 이는 H1N1 인플루엔자 ... ...
- 原電 해킹 원천봉쇄… 단방향 데이터 전송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3
- 전송메시지의 내용을 해석할 수 없도록 했다. 다중 동시 통신채널을 제공해 여러 장치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방향 통신기술은 해외 선진국에서도 개발된 바 있지만 ETRI 연구진은 이를 국산화 하고, 외국 기술보다 높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이 기술은 실제 발전소 등에 ... ...
- [배터리 이야기①] 리튬이 만든 세상을 보라동아사이언스 l2018.01.18
- 밖에 쓸 수 없었던 노트북은 하루를 너끈히 사용할 수 있게 됐고, 어지간한 소형 가전장치도 충전식으로 만들 수 있게 됐다. 청소기는 끈이 사라진 ‘코드리스’ 제품이 대세로 떠올랐다. 안전성을 문제로 니카드 계열 배터리를 고집하던 전기자동차 개발자들도 최근에는 리튬이온에 눈을 돌리고 ... ...
- [출동!기자단] 태양광 LED스탠드를 만들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01.17
- ” “맞아요. 그래서 태양빛이 밝은 낮에 에너지를 저장해 뒀다가 밤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도 있답니다. 그러면 하루 종일 전기를 사용할 수 있지요.” 취재를 마친 후 이하영 기자는 “적정기술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어 좋았고, 직접 LED 스탠드까지 만들 수 있어 뿌듯한 시간이 었다”고 소감을 ... ...
- 풀HD를 울트라HD로…실시간으로 영상화질 4배 높여 주는 인공지능 기기동아사이언스 l2018.01.17
- 아직까지 방송 콘텐츠는 FHD 화질의 영상이 대부분”이라며 “UHD TV에 셋톱박스 크기의 장치만 설치하면, FHD 방송 콘텐츠도 쉽게 UHD 영상으로 즐길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360도 가상현실(VR) 콘텐츠에도 적용 가능하다. 연구진은 FHD(1920×1080) 영상을 입력하면, 가로세로 픽셀 수가 각각 2배씩 ... ...
- 3D프린트로 열전 잉크 인쇄, 좁은 틈에서도 전기 쓴다동아사이언스 l2018.01.16
- 사용할 수 있다. 에너지 형태가 변할 때 열로 변해 손실되는 비율은 약 60% 정도다. 냉각장치나 자동차 엔진 등 열 손실이 많은 곳에는 열전 발전기를 부착해 폐열을 전기로 바꾸는 기술이 널리 쓰인다. 기존 열전 소재는 직육면체 평판 형태라 평평한 곳이 아니면 사용하기 어려웠다 ... ...
이전2942952962972982993003013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