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뉴스
"
세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우주망원경' 외계행성 찾아줘서 고마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상상도. NASA 제공. 허블우주망원경의 바통을 이어받을 차
세대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은 2021년 3월 발사될 예정이다. JWST는 지구에서 150만km 떨어진 ‘라그랑주 L2’ 포인트에 보내지기 때문에 허블우주망원경과는 달리 수리가 어렵다. 당초 2018년 10월 발사 ... ...
‘미세먼지 없애는 음악’ 음파 기술로 작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연구를 수행하던 도중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육각형 탄소 덩어리가 얇은 판을 이루는 차
세대
소재인 그래핀을 연구하기 위해 라만 분광기로 측정하는 도중 파장에너지에 의한 매질 내 입자거동을 생각하게 되었다. 라만 분광기는 물질에 레이저를 쏘아 일어나는 진동으로 성분을 파악하는 장치다. ... ...
[이정아의 미래병원] 감염질환부터 우울증· 트라우마까지 잡는 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2
면역력을 갖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백신을 고안하고 있다. 가장 먼저 나타난 차
세대
백신은 콧속에 스프레이 형태로 뿌리는 백신이다. 인플루엔자 백신도 스프레이형인 '플루미스트'가 개발돼 상용화됐다. 플루미스트를 개발한 아스트라제네카에서는 약물이 직접 호흡기를 통해 들어가기 때문에 ... ...
"2020년대 이끌 핵심 ICT는 인공지능"…떠오르는 AI 시대
연합뉴스
l
2020.01.10
AI를 활용하면 GDP가 14%(약 15조7천억 달러)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NIA는 5G(
세대
) 기술과 자율주행차를 두 번째 핵심 기술로 꼽고, 5G 기술이 탑재된 TCU(차량용 통신 장비)가 발달하면서 늦어도 2022년까지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자동차가 상용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문용식 NIA ... ...
[과학게시판] '슈퍼버그' 특별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지난 7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국제가전박람회(CES) 2020'에 참석해 5
세대
(5G) 이동통신과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주요 분야에 대한 글로벌 동향을 파악했다. 장 차관은 이번 CES 2020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인공지능이 보편화된 생활가전과 로봇, 초고화질(8K) 디스플레이, 지능형 ... ...
'유튜버 시대'의 CES…미니드론에 AI 샤크 카메라까지
연합뉴스
l
2020.01.09
오텔로보틱스를 비롯한 다양한 IT 업체들이 각자 4K 화질, 인공지능(AI) 기술, 5
세대
이동통신(5G) 기술 등을 접목한 신제품을 선보였다. 드론 수십 대로 '군무'를 펼치기도 하고 차단된 공간에서 자유롭게 시연을 하는 등 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쇼가 이어졌다. 이런 분위기와 달리 초콜릿 ... ...
역시 '라스베이거스 모터쇼'…CES 달군 모빌리티 향연
연합뉴스
l
2020.01.09
부스에 자사와 글로벌 전장기업 파이오니아 스마트 센싱 이노베이션즈(PSSI)가 개발한 차
세대
단일 광자 라이다를 전시했다. 라이다(LiDAR)는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춰 사물과의 거리 및 다양한 물성을 감지하고 이를 3D 영상으로 모델링하는 기술이다. 자율주행차의 '눈'과 같은 핵심 역할을 한다. ... ...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지금 결정 못하면 월성 2~4호기 모두 운영중단 사태"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않고 있다”며 지적했다. 정부는 파이로프로세싱과 소듐고속로(SFR) 등 재처리 및 차
세대
원전 분야 연구가 올해 말 기술성과 핵비확산성, 경제성 평가를 거쳐 사업 중단 여부를 재점토하기로 했다. 김 회장은 이에 대해 “학회의 공식 입장은 아니다”라고 전제한 뒤 “원자력발전을 하는 한 ... ...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하고 반도체 경쟁력 확보하고… 운영 2만 시간 돌파한 경주 양성자가속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열전 성질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탁희 서울대 교수는 양성자 빔을 이용해 차
세대
반도체 소자의 전도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과학연구단 연구원들이 지난 12월 24일 한 자리에 모여 양성자가속기 가동 2만 시간 기록 달성을 기념하고 있다. ... ...
ESS 화재 위험 줄인 새 이차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83%를 보였다”며 “1000회 이상 운전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상욱 교수는 “차
세대
물 기반 전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노소재 기술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김희탁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ESS 개발이 가속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