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비교분석"(으)로 총 3,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 많게 진화과학동아 l2016.10.17
- 왼쪽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두 번째 사진은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목 동맥 흔적. 오른쪽 사진은 두개골을 뒤집어 놓은 모습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목 동맥이다. -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제공 인류가 뇌의 크기보다 혈류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가 ... ...
- 향(香) 없는 술은 코감기 환자 같다: 소주, 정종, 와인 편2016.10.15
- 집술[家酒]은 즐기는 마음 없이는 내키지 않을뿐더러 재미도 없을 것이다. 그러니 집술을 즐기는 일은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사람의 취미이기도 할 테다. 즐김 정도에 따라 나름의 모양과 콘셉트도 있기 마련일 테다. 반복되는 과정에서 노하우도 쌓일 것이다. 하지만 나는 전문가도 아니거니와 꼼 ... ...
- 신장암 환자는 뚱뚱하면 더 오래 산다?과학동아 l2016.10.15
- GIB 제공 일반적으로 비만은 건강의 적신호다. 하지만 신장암 환자의 경우 오히려 청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다나 파버 암 연구소의 토니 초우에리 박사팀은 신장암 환자 2000명을 대상으로 비만 여부와 생존 기간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과체중 환자들의 평균 생존 기간이 약 ... ...
- 지극히 개인적인, 과학적 합리성의 3가지 요소2016.10.15
- 김승섭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교수 날이 무던히 춥던 지난 겨울 어느 날이었습니다.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ESC)'라는 모임을 만들어 보겠다며 여러 사람들이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 회의실에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ESC 대표가 되신 윤태웅 교수님이 과학은 사 ... ...
- 올가을 단풍, 예년보다 늦게 색동옷 입는 이유2016.10.14
- 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제공 갑작스레 싸늘해진 날씨와 함께 전국 각 지역의 산야도 형형색색으로 물들고 있다. 단풍이 드는 시기는 해마다 다르고, 단풍이 물들어가는 속도도 매년 크게 달라진다. 이러다 보니 단풍 구경을 나섰다가 가득 쌓인 낙엽만 보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단풍이 드는 시 ... ...
- [테크놀로지와 저널리즘] 기계의 독해법 vs 사람의 독해법, 차이점은?2016.10.13
- #1. 기계가 읽은 도시 ‘인이퀄리그램(Inequaligram)’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가 있다. 인이퀄리그램은 불평등을 뜻하는 ‘inequality’와 사진 공유 SNS인 인스타그램(Instagram)을 합쳐 만들었다. 뉴욕시립대학교(City University of New York)의 레프 마노비치(Lev Manovich) 교수가 진행하고 있는 이 프로젝트는 인스타 ... ...
- 바닷새가 물고기 잡으며 다이빙해도 죽지 않는 이유2016.10.09
- 부비새가 물속에 다이빙하는 과정을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모습. 부리를 수면에 수직으로 세우고 목 근육을 재빨리 수축해 머리와 목뼈가 다치지 않도록 보호한다. -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제공 부비새 같은 바닷새들은 물고기를 잡기 위해 수면 위를 날다 재빠르게 물속으로 다이빙한다. 시속 약 ... ...
- 노벨상 수상자의 ‘인맥’엔 특별한 것이 있다2016.10.07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노벨상 후보로 꼽히는 한국의 대표적 과학자들은 ‘사회적 자본’이 해외 노벨상 수상자보다 부족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사회적 자본이란 협력 가능한 다양한 인적, 물적 자원을 지칭하지만 과학자 네트워크에서는 공동 연구 인적 자원을 의미한다. 한국이 과학계 선 ... ...
- 한국인 유전체, 서양인과 1만8210개 구조 달랐다2016.10.06
- 미국 국립일반의학연구소 제공 서정선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장 연구진이 세계에서 가장 정밀한 인간 유전체(게놈) 지도를 완성했다. 한국인의 세포를 이용해 인간의 유전체 지도를 새롭게 그려낸 것이다. 서 교수의 논문을 게재한 네이처는 “현존하는 유전체 분석 결과 중 가장 완벽 ... ...
- 가장 정밀한 인간 유전체 지도. 한국 연구진이 분석2016.10.06
- 미국 국립인간게놈연구소(NHGRI) 제공 서울대 연구팀이 기존에 인류가 알지 못했던 유전체(게놈) 정보 중 93%를 새로 밝혀냈다. 현존하는 유전체 분석 결과 가운데 가장 완벽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한국인 체질에 꼭 맞는 맞춤형 의약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인 국제 학술지 ... ...
이전294295296297298299300301302 다음